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 기념 열병식에서 북한·중국·러시아 정상이 1959년 이후 66년 만에 망루에 나란히 서는 역사적 풍경이 연출됐다.
3일 오전 9시(현지 시간) 베이징 톈안먼 앞에서 시작된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톈안먼 망루(성루)에 나란히 입장했다.
망루에 가는 길에서부터 다같이 담소를 나누며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한 이들은 본행사에서도 망루 중심에 나란히 자리했다. 시 주석 왼쪽에 김 위원장, 오른쪽에 푸틴 대통령이 나란히 자리한 모습은 이날 관영 중국중앙(CC)TV 등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북중러 정상이 공식 석상에 한 자리에 모인 것은 1959년 중국 국경절(건국기념일) 열병식 이후 처음이다. 당시 김일성 북한 주석·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가 나란히 섰다.
이날 장면을 통해 중국이 과거 미소 냉전에 버금가는 미중 신냉전 구도의 신호탄을 쏘아올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북중러를 중심으로 ‘글로벌 사우스’ 신흥국들까지 끌어모아 미국과 서방에 대항하는 ‘반서방연대’를 과시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이날은 양자외교에만 집중해왔던 김 위원장이 처음으로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한 날이기도 하다. 김 위원장이 미국과의 협상 자리에 대비해 몸값 끌어올리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을 올해 또는 내년에 만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