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006280)는 품질문서 작성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GC녹십자는 메가존클라우드와 함께 품질문서 작성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에 따라 연간 제품 평가 보고서 및 제품 경향 분석 보고서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높이고 문서 작성 시간을 80% 이상 단축하며 품질 혁신과 업무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이번 프로젝트에 쓰인 메가존클라우드의 AI 서비스 ‘메가존 AIR(AI-Ready)’는 생성형 AI인 아마존클라우드서비스(AWS)의 ‘아마존 베드록’과 앤스로픽의 대형언어모델(LLM) ‘클로드 3.7’ 및 검색증강생성(RAG)기술을 적용했다. RAG는 LLM이 단순 사전 학습한 데이터를 넘어 실시간으로 내부 데이터베이스 및 외부 정보를 검색해 응답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한 기술이다.
이번 시스템은 유럽연합의 GMP 가이드라인에 맞춰 구축됐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도록 초안 작성을 지원하되, 현업 담당자가 최종적으로 검토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절차를 필수로 진행한다.
강형묵 GC녹십자 디지털혁신실장은 “AI를 활용한 문서 작성 시간 단축으로 현업은 실질적인 품질 관리 수준 향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됐으며, 제약업계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AI 도입을 확대해 제약 업계 경쟁력을 지속해서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성배 메가존클라우드 공성배 CAIO(최고AI책임자)는 “제약 산업처럼 데이터가 복잡하고 규제가 엄격한 환경에서도 AI와 클라우드 기술이 실제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성공적 사례로 이번 협업을 시작으로 헬스케어 산업 전반의 디지털 혁신을 더욱 폭넓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