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요 신축단지의 입주율이 최근 두 달간 5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6·27 대출 규제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금지되면서 세입자의 대출 자금으로 잔금을 치르는 것이 금지된 영향 때문 등으로 풀이된다. 6월 입주를 개시한 서초구 메이플자이는 전세금 시세가 1~2억 원가량 하락하는 등 대출 규제의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확인됐다.
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메이플자이는 3307가구 가운데 약 1950가구가 입주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 마감 시점인 지난달 말 기준 입주율은 59% 수준에 머물렀다. 입주율이 현저히 낮은 탓에 피트니스센터, 수영장 등 커뮤니티 시설도 아직 개방되지 않은 상황이다. 식당과 카페테리아 등도 이달 16일 이후에야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의 또 다른 신축단지인 서대문센트럴아이파크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총 827가구가 들어서는 서대문센트럴아이파크의 입주율은 50%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달 입주를 시작한 성동구 청계SK뷰도 수분양자의 절반가량이 아직 입주하지 못하고 있다.
서울 주요 단지의 입주율이 저조한 것은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수도권 내 ‘갭 투자’를 막기 위해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하면서 세입자의 전세 대출금으로 잔금을 치를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수분양자 중 상당수는 대출 없이 전세 자금을 지급할 여력이 있는 세입자를 찾아야 해 전세금을 당초 시세보다 낮춰 부르는 상황이다. 메이플자이 인근에서 사무실을 운영하는 A 공인중개사는 “전세금 시세가 15억 원 정도였는데 1~2억 원 정도 내려가면서 물량이 소화되고 있다”며 “금융권의 대출 규제로 전세 시세는 예상보다 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월세로 전환하는 추세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 11월 입주 예정인 서울 동대문구 이문아이파크자이는 전세 물량이 급감하고 월세 매물 위주로 새 임차인을 구하는 상황이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집 주인이 이미 주택 담보 대출을 빌렸을 경우 세입자가 전세 대출을 받을 수 없게 된 대출 규제 여파가 크다”며 “전세 물량은 찾기 어렵고 월세 위주로 계약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다만 신축단지의 대규모 잔금 미납과 입주 포기 등으로 번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요즘 입주 기간은 6개월 정도로 길게 보는 추세”라며 “서울 청약은 대부분 생애 최초 무주택자가 당첨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떻게든 자금 마련을 해서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며 “수분양자가 어렵게 획득한 입주권을 포기할 가능성은 낮아 보이며 금융권 차입이 여의치 않으면 부모, 형제 또는 지인으로부터 자금을 끌어올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