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미분양 물량도 점차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최근 일부 고분양가 단지와 후분양 물량 영향으로 단기적인 통계상 증가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25일 부산시에 따르면 구·군별 미분양 주택은 올해 4~5월부터 동구, 남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 등에서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특히 5~7월 사이에는 동구, 남구, 수영구, 기장군에서만 50호 이상이 해소됐다.
주택시장 회복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2022년 6월 이후 이어진 아파트 매매가 하락세가 최근 보합으로 전환됐고 일부 지역은 상승세로 돌아섰다. 올해 1월 이후 거래량도 늘었으며 전셋값은 지난해 3월부터 꾸준히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통계상 미분양은 7월 5573호에서 8월 7146호로 늘었다. 준공 후 미분양도 같은 기간 2567호에서 2772호로 증가했다. 이는 후분양 단지 공급과 수요 반영 간 시차가 원인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배성택 시 주택건축국장은 “일시적인 미분양 증가는 구조적 문제가 아니라 공급·수요 간 시차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안정적인 주택시장 조성과 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시장 정상화와 함께 미분양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영래 부동산서베이 대표는 “고분양가 아파트는 초기 계약률이 제한적이었지만, 청약 대기 수요가 무순위 청약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회복세가 이어지면 미분양은 안정적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강정규 동아대 부동산대학원장도 “금리 인하, 정부의 수도권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수요가 맞물리면서 회복 요인이 확대되고 있다”며 “부산 부동산시장의 정상화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