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한국 투자설명회(IR)인 ‘대한민국 투자 서밋’을 치른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페이스북을 통해 “연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종합적 로드맵을 발표하겠다”며 “코리아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도 이날 보도 참고 자료를 통해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해 외환시장을 24시간 개방하고 역외 원화 결제 시스템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국내 외환시장은 오전 9시부터 다음 날 새벽 2시까지만 운영돼 미국 시간대 거래에 제약이 있다. 외국인이 역외에서 원화 결제를 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춰지지 않았다. 이는 지난 17년간 한국의 MSCI 편입을 좌절시킨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돼왔다.
증권가에서는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최대 300억 달러(약 42조 원)의 해외 자금이 국내 증시에 들어올 것으로 평가한다. 그런 점에서 MSCI 편입 걸림돌을 한꺼번에 치우겠다는 정부의 시도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다만 외환시장 개방은 환투기 세력의 공격, 급격한 환율 변동성 확대 리스크가 크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 실제로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1.8원 급등한 1412.4원에 마감했다. 미국의 3500억 달러 투자 압박이 원화 약세를 부추기면서 환율이 넉 달 만에 다시 1410원대를 돌파한 것이다. 이 와중에 느닷없는 외환시장 개방 발표는 되레 시장 불안을 키울 수 있다.
물론 외환시장의 24시간 개장은 금융 선진화를 위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증시 부양책이나 ‘코스피 5000’ 달성을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오용하면 곤란하다. 무엇보다 유동성이 작은 야간 시간대 거래에서 역외 기관의 움직임에 따른 쏠림 현상이 발생하면 금융 안정성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시장 개방 속도전에 앞서 리스크 관리 체계부터 철저히 갖춰야 한다. 시장 모니터링 강화, 변동성 대응 장치 마련, 투기성 자본 차단 장치 등 24시간 개장 전에 선결해야 할 과제가 하나둘이 아니다. 섣부른 24시간 개장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