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4.61포인트(0.15%) 오른 3108.25 마감
증권 국내증시 2025.06.25 15:33:26[코스피] 4.61포인트(0.15%) 오른 3108.25 마감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9.40%↑)
증권 News봇 2025.06.25 15:20:2925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21p(+0.20%) 상승한 3109.85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9.40%), 건설업(+3.50%), 증권업(+2.14%)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01%), 기계업(-2.42%), 서비스업(-1.30%)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64:36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정밀업은 28:7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7,855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210억, 기관은 5,03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0.05% 오른 5,03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19.13%), DL이앤씨(375500)(+14.05%)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이터닉스(475150)(-13.32%), 서울식품우(004415)(-12.96%), 신세계 I&C(035510)(-11.3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57개, 하락종목은 43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보험업(0.28%↑)
증권 News봇 2025.06.25 15:00:2325일 오후 3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30p(+0.11%) 상승한 3106.94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8.76%), 건설업(+3.38%), 증권업(+1.30%)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2.96%), 기계업(-2.45%), 서비스업(-1.4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보험업이 62:38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6:74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7,849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222억, 기관은 5,06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1.48% 오른 5,09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19.03%), 롯데손해보험(000400)(+18.1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이터닉스(475150)(-13.32%), 서울식품우(004415)(-12.96%), LG씨엔에스(064400)(-11.1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39개, 하락종목은 46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증권업(1.40%↑)
증권 News봇 2025.06.25 14:30:2125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47p(+0.18%) 상승한 3109.11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8.91%), 건설업(+4.20%), 증권업(+1.40%)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2.88%), 기계업(-2.05%), 서비스업(-1.2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증권업이 62:38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3:77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7,750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535억, 기관은 4,802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6.73% 오른 5,31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19.59%), 동방(004140)(+16.42%)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LG씨엔에스(064400)(-13.30%), 서울식품우(004415)(-12.54%), SK이터닉스(475150)(-12.2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53개, 하락종목은 44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공인회계사들 “올 3분기 경기 반등 예상…새 정부 정책 기대감”
증권 증권일반 2025.06.25 14:13:41공인회계사들이 올해 내내 경기 악화 흐름이 지속되겠으나 3분기부턴 반등할 수 있다고 봤다. 지정학 리스크, 대외 환경 악화 등 경기 부진 요인이 여전하지만 새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에 기대를 걸고 있다는 분석이다. 25일 한국공인회계사회 회계정책연구원이 발표한 ‘공인회계사가 본 경기실사지수(CPA BSI)’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경제 현황 BSI는 67로 1분기(60)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조사는 지난달 12~23일 파트너급 이상 공인회계사 25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BSI가 기준점인 100을 초과하면 경기 호전, 100 미만이면 경기 악화를 의미한다. 경제·산업 전반에 전문 지식이 있는 공인회계사들은 올해 2분기까지 경기가 어렵다고 봤다.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 고물가·고금리,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전 세계가 경기가 위축되면서 국내 수출·내수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기 때문이다. 다만 3분기 전망 BSI는 88로 큰 폭 반등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기준점인 100 미만인 만큼 경기 부진은 이어지겠지만 국내 정치 불안정이 해소되고, 새 정부가 적극 대응하면 점차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외 환경 악화 가능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공급망 이슈, 수출 동향 등 경기 부진 요인은 여전할 것으로 예상했다. 앞으로 1년 동안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세부 요인으로는 글로벌 경기 흐름(41.3%)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세제 개편·재정 지출 등 정부 정책 변화(18.5%), 통화정책 방향 및 자금조달 환경 변화(8.7%), 원자재 가격 및 인플레이션(6.1%), 가계 및 기업 부채 수준(5.3%) 등이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산업별로는 2분기 현황 BSI가 조선(150), 금융(97), 정보통신(97), 제약·바이오(9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선업 외 대부분 산업 현황은 기준치를 밑돌면서 부진할 것이란 평가다. 3분기 전망 BSI에선 제약·바이오(109), 전자(104), 금융(102) 업종의 개선을 기대했다. 한정석 서울대 경영대학 부교수는 “CPA BSI는 기존 주요 기관의 BSI와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코스피 수익률 등과도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다”고 설명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2:58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약품업(0.35%↓)
증권 News봇 2025.06.25 13:30:2125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67p(-0.12%) 하락한 3099.97로, 42(매도):58(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27%), 기계업(-2.12%), 서비스업(-0.95%)이며, 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8.46%), 건설업(+4.82%), 유통업(+1.3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27:7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금융업은 54:4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7,90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3,094억, 기관은 4,48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8.64% 오른 5,390원을 기록 중이고, 동방(004140)(+20.71%), 파미셀(005690)(+20.15%)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세계 I&C(035510)(-12.32%), 서울식품우(004415)(-12.04%), SK이터닉스(475150)(-11.7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91개, 상승종목은 39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서비스업(1.04%↓)
증권 News봇 2025.06.25 13:00:1925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0.27p(-0.01%) 하락한 3103.37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44%), 기계업(-1.67%), 서비스업(-1.04%)이며, 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8.03%), 건설업(+4.83%), 부동산업(+1.4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서비스업이 30:70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55:4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7,31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3,126억, 기관은 3,89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6.97% 오른 5,32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20.06%), 동방(004140)(+15.8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세계 I&C(035510)(-13.46%), SK이터닉스(475150)(-12.11%), 서울식품우(004415)(-11.8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58개, 상승종목은 43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0.42%↑)
증권 News봇 2025.06.25 12:30:1625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57p(+0.15%) 상승한 3108.21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8.78%), 건설업(+5.83%), 유통업(+1.88%)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42%), 기계업(-1.13%), 서비스업(-0.9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56:44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6,548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3,088억, 기관은 3,21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4.11% 오른 5,20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18.20%), DL이앤씨(375500)(+16.9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세계 I&C(035510)(-13.87%), 서울식품우(004415)(-11.83%), 신풍제약우(019175)(-11.3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29개, 하락종목은 46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3106.75, 상승세(▲3.11, +0.10%) 지속
증권 News봇 2025.06.25 12:00:28코스피시장이 개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장 중반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25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11p(+0.10%) 오른 3106.75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6,243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3,168억, 기관은 2,84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9.02%), 건설업(+4.79%), 부동산업(+1.32%)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IT 서비스업(-3.21%), 기계업(-1.56%), 서비스업(-1.01%)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9.83% 오른 5,44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18.85%), 동방(004140)(+17.91%)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신세계 I&C(035510)(-12.63%), 서울식품우(004415)(-12.04%), 신풍제약우(019175)(-10.3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19개, 하락종목은 46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9.02%↑)
증권 News봇 2025.06.25 12:00:1825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64p(+0.05%) 상승한 3105.28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9.02%), 건설업(+4.80%), 부동산업(+1.32%)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14%), 기계업(-1.57%), 서비스업(-1.0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61:39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6,243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3,168억, 기관은 2,84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9.83% 오른 5,44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19.03%), 동방(004140)(+17.1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세계 I&C(035510)(-12.63%), 서울식품우(004415)(-12.04%), 신풍제약우(019175)(-10.3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19개, 하락종목은 46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45:55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9.40%↑)
증권 News봇 2025.06.25 11:30:1225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07p(+0.23%) 상승한 3110.71로, 45(매도):5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9.40%), 건설업(+5.51%), 부동산업(+1.21%)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58%), 기계업(-1.36%), 서비스업(-0.64%)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59:41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5,644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962억, 기관은 2,45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9.83% 오른 5,440원을 기록 중이고, 파미셀(005690)(+18.66%), 동방(004140)(+17.1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세계 I&C(035510)(-13.46%), 서울식품우(004415)(-11.83%), 신풍제약우(019175)(-10.0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52개, 하락종목은 43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늘의 메모[6월 26일]
증권 국내증시 2025.06.25 11:04:34<코스피> ▲구주주유상청약=한세엠케이 ▲보통주추가상장=한진·롯데관광개발·신원(국내CB) <코스닥> ▲공모주청약=싸이닉솔루션(주관사 대신) ▲신주배정기준일=오텍(유상) ▲보통주추가상장=꿈비·원텍·HLB·빛과전자·서진오토모티브(국내CB) 올릭스·레이저옵텍·진시스템(주식매수선택권행사) ▲주권변경상장=하이퍼코퍼레이션(감자) -
오전 11:0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운수창고업(0.97%↑)
증권 News봇 2025.06.25 11:00:1625일 오전 1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96p(+0.22%) 상승한 3110.60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9.82%), 건설업(+5.02%), 운수창고업(+0.97%)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08%), 기계업(-1.12%), 섬유의복업(-0.7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운수창고업이 64:36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8:7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5,395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844억, 기관은 2,43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9.83% 오른 5,440원을 기록 중이고, 동방(004140)(+20.90%), 파미셀(005690)(+18.48%)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세계 I&C(035510)(-12.22%), 서울식품우(004415)(-10.08%), 신풍제약우(019175)(-9.8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99개, 하락종목은 48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VIP운용 "롯데렌탈 저가 유증, 개정 상법 위반 1호 될 것"[시그널]
증권 IB&Deal 2025.06.25 10:34:14롯데렌탈이 최대주주 변경 과정에서 저가로 유상증자를 추진한다며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VIP자산운용이 회사를 향한 압박의 수위를 더욱 높여가고 있다. 상법 개정을 앞두고 롯데렌탈 유상증자가 첫번째 법 위반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번 사건을 공론화의 장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끌고 나오는 모양새다. 25일 김민국 VIP운용 대표는 “어피니티의 인수 발표 이후 제기되고 있는 불공정 합병과 상장폐지 가능성, 밸류업 정책의 지속 여부 등에 대해 인수자 측이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롯데그룹이 주주의 정당한 문제제기에 대해 결자해지 차원의 결단을 해야하며 호텔롯데가 회사에 일시적으로 필요한 자금을 대거나 최소한 공모가격(5만9000원) 이상의 유상증자가 이뤄져야한다는 대안을 제시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VIP운용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를 전하면서 “롯데렌탈의 유상증자가 상법 개정 이후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위반의 첫 사례로 기록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예상보다 길어진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로 인해 유상증자 이전에 상법 개정이 먼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앞서 VIP운용은 롯데렌탈이 주당 2만9180원에 추진 중인 제3자배정 유상증자가 다른 소수주주들의 이익을 침해한다며 이달 초 롯데그룹을 상대로 정식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VIP운용은 롯데렌탈 최대주주인 호텔롯데가 자신들의 지분 56.17%는 사모펀드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에 주당 7만7115원에 팔면서도 저가로 유증을 추진해 남아있는 주주들의 재산권에 큰 피해가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롯데렌탈은 공정위로부터 최대주주 변경 관련 기업결합심사를 받고 있다. 이 심사가 끝나는대로 최대주주 지분 이전 계약 관련 잔금 납입과 함께 유상증자도 곧장 추진될 예정이다. VIP운용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코스피5000 특별위원회’ 발대식에서 오기형 위원장이 상법 개정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롯데렌탈 사례를 직접 언급함에 따라, 이번 유상증자는 ‘주주충실의무 위반’의 대표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그러면서 “향후 상법이 개정되고 롯데렌탈이 예정대로 유상증자를 강행할 경우, ‘주주에 대한 충실의무’ 위반을 둘러싼 소송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주충실의무 관련 법리가 가장 체계적으로 정립된 곳은 미국 델라웨어주로, 특정 주주의 이익으로 인해 다른 주주가 손해를 입었을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한 판례가 다수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롯데렌탈이 유증을 그대로 추진한다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 대목이다. VIP운용은 또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후 국내 증시는 ‘밸류업’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나 롯데렌탈 주가는 이 같은 시장 분위기에서 소외된 상태”라면서 “이는 ▲유상증자로 인한 20% 수준의 지분 희석 우려 ▲SK렌터카와의 합병을 통한 상장폐지 가능성 ▲기발표된 밸류업 정책의 지속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한편 롯데렌탈 이달 23일 공시한 증권신고서에서 “현시점에서 본 유상증자 철회 계획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도 “당사는 유상증자 목적과 규정에 따라 발행가액을 적법하게 산정했음을 밝혔다”고 명시했다. /이충희 기자 midsun@@sedaily.com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48:52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80%↑)
증권 News봇 2025.06.25 10:30:1025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2.69p(+0.41%) 상승한 3116.33로, 48(매도):5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8.00%), 건설업(+5.39%), 운수장비업(+0.89%)이며, 약세업종은 IT 서비스업(-3.01%), 섬유의복업(-0.68%), 오락·문화업(-0.4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62:38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오락·문화업은 34:66의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4,951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2,316억, 기관은 2,49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KCTC(009070)가 22.20% 오른 5,120원을 기록 중이고, DL이앤씨(375500)(+15.08%), 제주은행(006220)(+12.8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신세계 I&C(035510)(-10.56%), 서울식품우(004415)(-9.73%), 신풍제약우(019175)(-8.3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463개, 하락종목은 41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