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李대통령 "한일관계, 과거사·영토 외면 안되지만 미래지향적 문제는 별도로 접근해야"
정치 정치일반 2025.09.11 11:34:26이재명 대통령은 11일 한일 관계와 관련해 "과거사·영토 문제를 외면하지는 말자는 것이 제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그 (과거사·영토)문제와 사회, 경제, 민간 교류 같은 미래지향적인 문제들은 그 문제대로 별도로 접근하자"라며 "그래야 무엇인가 개선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
[속보]李대통령 “내란 규명, 정부조직법 개편과 맞바꿀 수 없어”
정치 대통령실 2025.09.11 11:25:29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여야가) 내란 특검을 연장하지 않는 조건으로 정부조직법을 통과하기로 했다는 말이 있는데 그렇게 하길 바라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야합이 아닌 협치를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내란 진실을 규명해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하고 상응하는 책임을 물어 다시는 (내란을) 꿈도 못 꾸게 하는 것이 민주공화국의 본질적 가치”라며 “(내란 특검과 정부조직법 개편을) 어떻게 맞바꾸나. 그것은 타협이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내란은 나라의 근본에 관한 것이라 쉽게 무마되거나 덮어질 수 없다”며 “적당히 타협할 수 있는 요소가 못 된다”고 강조했다. -
李 대통령 "적극재정, 터닝포인트 위해 불가피…국채 절대액 안 중요해”
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25.09.11 11:22:12이재명 대통령은 11일 국가채무 증가 우려와 관련해 “지난 정부가 2~3년 했던 것처럼 세금을 깎아 주고 재정을 안 쓴다면 잠재성장률 이하로 성장해서 올 전반기처럼 경제가 죽는다”고 말했다. 잠재성장률 반등을 위해 적극재정의 필요성을 이 대통령이 직접 강조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빚이 왜 그렇게 많이졌냐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 있는 재정만으로 국정을 운영한다면 경제가 살아날 수 없다”면서 “적극재정은 터닝포인트를 만들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앞으로 적극적인 재정을 하게 됐다”며 “예산 증액과 재정 투자가 이뤄진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확장 재정과 연관된 국가 부채에 대해 “국채 규모의 절대액이 중요하지 않다”며 “다른 나라들은 100%가 넘는다. 100조원 가까이 국채를 발행해도 부채 비율은 50%를 약간 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100조원 정도를 지금 생산적 분야에 투자하면 국민총소득과 국내총생산이 몇 배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재정 관료들이 걱정하길래 ‘일부의 비난에 연연하지 말자, 결과가 말해준다’고 설득했다"고 밝혔다. -
[속보] 李대통령 "사회적 대형 참사, 보수정권서 주로 발생"
정치 국회·정당·정책 2025.09.11 11:15:52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잘 생각해보면 대형 참사는 소위 보수정권에서 발생했다. 그쪽 정권을 비난하려는 팩트 왜곡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그러한 약간의 이유가 있다"며 "산업재해 사고 때문에 일부에선 대통령이 산재 가지고 몇 번째냐 지적하는 사람도 있더라. 공직자 사회에서 제가 이런 얘기를 하면 공직 사회에선 확 준다”며 이같이 밝혔다. -
[속보] 李 대통령 "AI, 국제기구보다 국제규범 만드는 게 훨씬 급해"
정치 정치일반 2025.09.11 11:08:28이재명 대통령이 내년 1월 시행되는 'AI(인공지능) 기본법'에 대해 "우리나라만 AI 규제를 했다가 경쟁에서 뒤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있다"며 "국제적인 단위에서 AI 관련 규범, 윤리를 확보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의를 받고 "AI 관련해 국제 규범을 만들어내는 게 훨씬 더 급한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유럽 차원에선 (AI 규범에 대한) 얘기가 진척돼 있고 우리도 법을 만들었다"며 "(국제 논의에서) 우리가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AI 관련 국제기구를 만들어 대한민국에 유치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깊이 고민해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
[속보]李대통령 “북미 대화, 우리가 주도 고집할 필요 없어”
정치 대통령실 2025.09.11 11:04:39이재명 대통령이 11일 “북미 대화를 우리가 주도해야 한다고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북미 대화가 열리는 것이 한반도 평화 안정에 도움된다”면서도 “꼭 우리의 바운더리 안에서 이뤄져야 하는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내가 ‘페이스메이커’를 한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칠 인물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라고 강조했다. 또 “현실적으로 (남북 간) 신뢰가 다 깨졌으니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서로 기분만 나쁠 (대북) 라디오 방송, 이런 것을 중단했다”며 “군사적 긴장 완화 위한 작은 조치를 계속 한다”고 설명했다. -
[속보]李대통령 “北 급작스러운 태도 전환 기대했다면 바보”
정치 대통령실 2025.09.11 11:00:26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정권이 바뀌었다고 북한의 태도가 확 바뀔 것을 기대했다면 바보”라고 말했다. -
[속보] 李대통령, 한미 협상 비판에 "증액 방어하면 됐지, 합리적 사인해야"
정치 국회·정당·정책 2025.09.11 10:58:58 -
[속보] 李대통령 "한미 관세협상, 국익 반하는 결정 절대 안해"
정치 국회·정당·정책 2025.09.11 10:56:52 -
[속보] 李 대통령 "美 진출 기업들 당황…현지 투자 망설일 수밖에 없을 것"
정치 정치일반 2025.09.11 10:53:25이재명 대통령이 11일 미국 이민당국의 한국 국민 구금 사태로 인해 현지 투자한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급증한 데 대해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매우 당황스러운 상태일 것”이라며 “앞으로 대미 직접투자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미국 구금 사태로 인한 대미 투자 계획의 변화 가능성을 묻는 외신기자의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장기, 영구 취업한 것도 아니고 시설·장비·공장을 설립하는 데 기술자가 있어야 할 거 아니냐”며 “이게 안 되면 기업들 입장에서는 미국에 현지 공장을 설립한다는 게 (미국 당국이) 온갖 불이익을 주거나 어려워질텐데 ‘이걸 해야 하나’ 이런 고민을 안 할 수가 없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번 사태로 인해 한미가 협의한 3500억 달러 투자에 영향을 미칠 지에 대해서는 “(기자가) 그냥 지나간 얘기로 물어본 것 같다”며 “일단 넘어가겠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이와 관련해 한미 간 협력 문제에 영향을 받아서 어떻게 하겠느냐는 취지의 질문이라면, 아직 (투자 계획을 변경한다든지) 그렇게 깊이 생각하고 있지 않은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과 대미투자와 관련된 비자 발급에서 ‘정상적으로 운영해달라’, ‘TO를 확보하든지 새로운 유형을 만들자’ 등 협상을 하고 있다”며 “미국도 현실적인 필요가 있다면 그 문제는 해결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
[속보] 李 대통령 "美 체포 국민, 남을 사람 남기로…트럼프 '안 가도 된다' 지시"
정치 정치일반 2025.09.11 10:50:21 -
[속보] 李 대통령 "오후 3시 美 구금 시설서 韓 국민 출발…내일 오후 서울 도착"
정치 정치일반 2025.09.11 10:48:03 -
[속보]李대통령 “100조원 국채, 터닝포인트 위한 불가피한 조치”
정치 대통령실 2025.09.11 10:44:38이재명 대통령이 국가채무 증가 우려에 대해 “국채 규모의 절대액은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다른 국가들은 부채 비율이 GDP 대비 100%가 이미 넘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리가 (국채 발행하는) 100조원 정도를 투자해 기술이나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면 (돈을) 없애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것이 역할을 해서 몇 배의 국민 소득 총생산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러면서 “충분히 돈을 벌어 갚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 정부처럼 세금을 깎고 재정을 안 쓰면 경제가 죽는다”며 “재정 관료들이 걱정하길래 ‘일부의 비난에 연연하지 말자, 결과가 말해준다’고 설득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터닝포인트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지금은 밭에 씨를 뿌려야 하는데 뿌릴 씨앗이 없으면 빌려서라도 뿌려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
[속보] 李 "양도세 기준, 굳이 10억 내릴 필요있나"
정치 국회·정당·정책 2025.09.11 10:38:38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에 관해 "굳이 50억 원을 10억 원으로 내리자는데 반드시 그렇게 해야겠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현행 유지로 선회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의견 모아보는데 대체로 원래대로 놔두자는 의견인 거 같다. 주식시장 의지를 의심하는 시험지 비슷하게 느끼는 거 같은데 끝까지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주주(의 면세 한도를)를 얼마까지로 인정할 거냐는 문제는 주식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것을 이유는 잘 알 수 없지만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의 의지를 시험하는 시험지 비슷하게 (시장에서) 느끼는 것 같다”며 “그렇다면 굳이 이것(대주주 기준 강화)을 끝까지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한다”고 했다. 다만 구체적인 결론에 대해서는 “국회의 논의에 맡기도록 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대주주 기준의 현행 유지 방침을 전하면서도 “한 개 종목을 50억 원 어치 사는 사람은 특정한 예외 말고는 없다”며 “한 개 정목에 대해 50억 원까지 면세해줘야 하냐는 생각을 지금도 한다”고 기본 생각은 기준 강화에 있다는 입장도 덧붙였다. -
[속보] 이재명 "상법은 기업 옥죄는 게 아니라 악덕 경영진 압박"
정치 국회·정당·정책 2025.09.11 10:32:43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상법은 기업을 옥죄는 게 아니라 부당한 악덕 경영진 일부 지배주주를 압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기업을 소유한 소액 주주들은 좋아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부당한 일부 지배주주를 옥죄어 회사를 살리고 압도적 다수 주주들에게 도움을 줘 국민경제에 도움을 주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상법을 개정해 경영 풍토를 정상화해야 주가가 정상화된다”며 “'더 센 상법'이 나쁜 뉘앙스를 갖고 있지만 더 세게 진짜 회사 주주 보호하고 더 세게 기업이 국민경제에 도움되고, 기업 경영이 기업 자체를 키우는 방향으로 가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