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로봇팔 수백대가 조립한 車, 로봇개 '스팟'이 점검…현대차 생산기지 중 '최고 품질' 美공장 가보니[biz-플러스]
    로봇팔 수백대가 조립한 車, 로봇개 '스팟'이 점검…현대차 생산기지 중 '최고 품질' 美공장 가보니[biz-플러스]
    IT 2025.03.31 07:10:00
    “현대차(005380)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자동화·시스템화를 통해 품질 측면에서는 (그룹 공장들 중에서) 제일입니다.” 27일(현지 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메타플랜트에서 만난 권오충 법인장(전무)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새로운 생산기지를 이같이 설명했다. 취재진을 실은 카트카가 메타플랜트 안으로 진입하자 지평선이 보일 만큼 광활한 공장 내부가 모습을 드러냈다. 미국 조지아주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한국 최대 자동차 생산기지 울산공장(500만 ㎡)의 두 배가 넘는 여의도 4배 면적(1176만 ㎡)
  • "반나절 만에 대학 수학교재 점자 번역"…시각장애 소셜임팩트 상장 추진
    "반나절 만에 대학 수학교재 점자 번역"…시각장애 소셜임팩트 상장 추진
    IT 2025.03.31 06:00:00
    소셜 임팩트 기업으로 출발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번역 기술 기업이 이르면 내년을 목표로 기업 공개(IPO)에 나선다. 소셜 임팩트 분야에서 첫 일반 상장 사례가 나올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0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점자 번역에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도입한 센시는 국내 소셜 임팩트 분야에서 처음으로 주식 시장에 본상장을 추진한다. 지난해 ATP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증권 등에서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진행한 데 이어 이미 주관사 선정 작업을 마쳤다. 2022년 의료 소셜벤처 노을이 기술 특례 상장으로 코스
  • "한국인들 역시 빠르네" 10명 중 6명 AI 쓴다
    "한국인들 역시 빠르네" 10명 중 6명 AI 쓴다
    IT 2025.03.31 05:30:00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은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챗GPT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률은 1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2024년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전국 2만 5509가구와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 229명으로, 이들의 인터넷 이용 환경과 이용률, 이용 시간과 목적, 주요 서비스 활용 등을 조사했다. AI 서비스 경험이 있다는 응답률은 60.3%였다. 2021년 32.4%에서 202년 42.4%, 2
  • 세계 첫 門 조립 100% 자동화…“생산거점 중 품질 가장 뛰어나”
    세계 첫 門 조립 100% 자동화…“생산거점 중 품질 가장 뛰어나”
    IT 2025.03.30 18:08:35
    “현대차(005380)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자동화·시스템화를 통해 품질 측면에서는 (그룹 공장들 중에서) 제일입니다.” 27일(현지 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메타플랜트에서 만난 권오충 법인장(전무)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새로운 생산기지를 이같이 설명했다. 취재진을 실은 카트카가 메타플랜트 안으로 진입하자 지평선이 보일 만큼 광활한 공장 내부가 모습을 드러냈다. 미국 조지아주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한국 최대 자동차 생산기지 울산공장(500만 ㎡)의 두 배가 넘는 여의도 4배 면적(1176만 ㎡)
  • 딥시크 '상표 알박기' 한국에서 재현되나
    딥시크 '상표 알박기' 한국에서 재현되나
    IT 2025.03.30 17:43:19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사 딥시크가 국내에서 상표권 출원에 나섰다. 미국과 중국 등에서 상표 분쟁에 휘말린 딥시크가 국내에서도 비슷한 선점 시도가 발견되자 서둘러 상표권 확보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30일 특허청에 따르면 딥시크는 최근 자사의 영문명인 ‘deepseek’와 고래 모양의 회사 로고에 대한 상표권을 출원했다. 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국내에서 애플리케이션(앱) 다운로드가 금지되는 등 정상적인 사업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상표권 확보부터 시도한 것이다. 상표 출원 업무는 김앤장 법률사무소에 위임했다. 딥시크는 최근
  • 빅테크부터 스타트업까지…이통사 'AI 우군' 확보전
    빅테크부터 스타트업까지…이통사 'AI 우군' 확보전
    IT 2025.03.30 17:41:30
    인공지능(AI)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이동통신 3사가 본격적인 경쟁을 앞두고 빅테크부터 스타트업까지 전방위적 우군 확보전에 뛰어들었다. SK텔레콤(017670)은 토종 스타트업과의 시너지를 키우며 국내 AI 생태계를 주도하고, 경쟁사인 KT(030200)는 강력한 파트너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공동 개발 중인 신기술 세일즈에 전력을 다하는 등 경쟁력 강화에 전사적 에너지를 집중하는 분위기다. 3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27일 AI 에이전트(비서) ‘에이닷’에 스타트업 라이너의 ‘라이너 프로’를 탑재했다. 라이너
  • AI로 점자 번역…소셜임팩트 '센시' 이르면 내년 IPO
    AI로 점자 번역…소셜임팩트 '센시' 이르면 내년 IPO
    IT 2025.03.30 17:38:57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번역 기술 기업이 이르면 내년에 기업 공개(IPO)에 나선다. 소셜 임팩트 분야에서 첫 일반 상장 사례가 나올지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30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점자 번역에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도입한 센시는 지난해 ATP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증권 등에서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진행한 데 이어 최근 주관사 선정 작업을 마쳤다. 2022년 의료 소셜벤처 노을이 기술 특례 상장으로 코스닥 시장에 진출한 적이 있지만 일반 상장은 전례가 없다. 센시의 기술력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 "6조 달러 시장 잡아라"…엔터사업 '찜'한 네카오
    "6조 달러 시장 잡아라"…엔터사업 '찜'한 네카오
    IT 2025.03.30 17:38:17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들이 글로벌 미디어·엔터테인먼트(M&E) 시장을 잡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2032년이면 시장 규모가 6조 달러(약 8802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점에서다. 네이버는 계열사를 통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버추얼(가상) 아이돌 사업에 진출하는 한편 카카오(035720)는 오픈채팅을 활용한 기존 아이돌 팬심 잡기에 시동을 걸었다. 30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계열사 IPX(옛 라인프렌즈)는 버추얼 아이돌을 제작하기 위해 국내외 엔터사들과 물
  • 권오충 법인장 “美메타플랜트 車품질, 생산 공장 중 최고” ?
    권오충 법인장 “美메타플랜트 車품질, 생산 공장 중 최고” ?
    IT 2025.03.30 17:31:35
    “현대차(005380)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가 자동화와 시스템화, 인텔리전스를 활용해 균일화하는 측면에서는 (그룹 공장들 중에서) 최고라고 보시면 된다” 권오충 법인장(전무)은 메타플랜트를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공장이라고 설명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로봇 활용과 모듈화 생산의 교과서로 불리는 미국 전기차 테슬라의 텍사스 오스틴 공장 '기가 팩토리'도 실제 견학한 권 법인장은 “눈에 보이는 사람(작업자)들은 확 줄었지만 (제조 수준은) 우리보다 못하다”고 평가했다. 메타플랜트는 용접과 조립을 하는 차체
  • LG화학 개발 중단에 SK바팜·큐로셀로 좁혀진 39호 신약 주인공
    LG화학 개발 중단에 SK바팜·큐로셀로 좁혀진 39호 신약 주인공
    IT 2025.03.30 13:00:00
    LG화학(051910)이 주력으로 개발하던 통풍치료제 '티굴리소스타트'의 글로벌 임상 3상시험을 중단하며 국산 39호 신약 후보군이 좁혀졌다. 30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최근 통풍 치료제 ‘티굴릭소스타트(LC350189)’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자진 중단한다고 밝혔다. 티굴릭소스타트는 LG화학이 LG생명과학때부터 개발해 온 계열 내 최고(베스트 인 클래스) 신약이다. 2022년 한국, 미국, 유럽 등 21개 국가에서 임상 3상을 승인 받아 올해 임상이 마무리될 예정이었다. LG화학은 개
  •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
    IT 2025.03.30 12:38:39
    화장품, 세제, 샴푸 등에 은은한 꽃향기를 내기 위해 사용되는 시트로넬롤이 뇌 신경계에 독성을 유발해 뇌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화학연구원은 30일 식물에서 추출한 ‘시트로넬롤’(Citronellol)이 과다 노출되면 뇌 신경계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시트로넬롤은 장미, 제라늄, 시트로넬라 등에서 추출한 천연 향료 성분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안전한 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아로마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독성 연구는 지금까지 많지 않았
  • 국민 10명 중 6명 AI 쓴다…생성형 서비스 이용 2배↑
    국민 10명 중 6명 AI 쓴다…생성형 서비스 이용 2배↑
    IT 2025.03.30 12:00:00
    국민 10명 중 6명이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써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챗GPT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률은 1년 새 2배 가까이 증가하며 빠르게 확산하는 추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지난해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2만 5509가구와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 229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 환경과 이용률, 이용 시간과 목적, 주요 서비스 활용 등을 조사한 결과다. 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60.3%였다. 2021년 32.4%에서 202년 42.4%, 2023년 50.8% 등 매
  • ICT 기업들, R&D에 年 57조원 썼다…AI 등 집중 투자
    ICT 기업들, R&D에 年 57조원 썼다…AI 등 집중 투자
    IT 2025.03.30 12:00:00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연구개발(R&D)에 연간 57조 원 가까이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지능(AI) 등 기초연구 분야 투자액이 크게 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ICT 기업 1만 7104개사가 2023년 한해 동안 R&D에 총 56조 8000억 원을 투자했다고 30일 밝혔다. 전년 대비 5.4% 늘었고 국내 전체 기업들의 R&D 투자액의 60.2% 비중을 차지했다. 과기정통부는 2023년 ICT 기업의 생산과 수출이 모두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AI와 차세대 이동통신 등 첨단 기술 확보를 위해 R&D 투
  • 글로벌 IT 기업 "韓 규제만을 위해 개인정보 정책 변경 어려워"
    글로벌 IT 기업 "韓 규제만을 위해 개인정보 정책 변경 어려워"
    IT 2025.03.30 12:00:00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만나 한국의 규제가 글로벌 스탠더드(기준)와 맞지 않아 개인정보 정책을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개인정보위는 글로벌 IT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개인정보 처리방침 평가제 등을 보완할 방침이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8일 구글·메타·애플 등 글로벌 IT 기업들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CPO)를 만나 국내 개인정보 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샤오미·비야디(BYD)·테
  • 눈먼 쥐가 시력 되찾았다…실명 치료제 가능성 제시
    눈먼 쥐가 시력 되찾았다…실명 치료제 가능성 제시
    IT 2025.03.30 12:00:00
    국내 연구진이 눈먼 쥐의 시력을 회복시키는 실험에 성공했다. 향후 인간 대상 연구를 통해 실명을 부르는 퇴행성 망막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가능성이 생겼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진우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망막 신경 재생으로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쥐 실험을 통해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포유류 망막에서 장기간 신경 재생을 유도한 세계 최초 사례다.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26일 게재됐다. 전 세계 3억 명이 망막질환으로 시력 상실의 위험에 놓여 있다. 망막질환 치료제들이 개발돼 일부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