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보이지 않는 것을 그리다
전시2025.03.2406:00:00
미술은 본래 보여주기 위한 것이지만, 어떤 미술은 덜 보여줌으로써 더 깊은 감각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추상화가 김이수의 작업이 그렇다. 서울 강남구 청담동 조은숙갤러리에서 한창인 개인전 ‘앵프라맹스-인카운터(Inframince-Encounter)’에서 작가는 ‘무엇을 그렸는가’에 답하지 않고 ‘무엇을 느꼈는가’를 묻는다. 전시장에 들어서는 순간, 대형 회화들이 내뿜는 푸른 색조가 공간을 압도한다. 바다가 펼쳐진 듯 하늘로 떠오른 듯, 자연에 안기는 느낌이 들지도 모른다. 이 작업의 본색은 그림 가까이서 음미해야만 한다. 아주 미세한
K-아트, 런던 중심부 입성
전시 2025.03.23 17:43:40
추상화가 홍수연이 갤러리기와(KIWA)의 런던 개관전을 통해 영국에서의 첫 개인전을 열고 있다. 홍수연의 개인전 ‘인 더 플로우(In the Flow)’는 지난 2월20일 갤러리기와의 개관전을 겸해 막을 올려 4월 19일까지 열린다. 갤러리기와는 2011년 ‘갤러리마크’로 개관한 후, 해외 진출을 계획하며 한국성을 드러내는 ‘기와’라는 이름으로 간판을 바꿔 걸었다. 전시장이 위치한 곳은 런던에서도 현대미술의 중심지로 꼽히는 메
작가 이불, 세계 정상급 갤러리 하우저앤워스 합류
작가 2025.03.19 17:53:47
설치미술가 이불(61·사진)이 세계 최정상 갤러리 하우저앤워스(Hauser&Wirth) 전속작가가 됐다. 하우저앤워스는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 기반 갤러리 BB&M과 협력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예술가 이불 작가의 공동 전속 갤러리가 된 것을 기쁜 마음으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세계 최고의 갤러리로 손꼽히는 하우저앤워스가 한국 작가를 전속으로 받아들이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불은 하우저앤워스 합류를 공식 발
  • [조상인의 예(藝)-<31> 김두량 '월야산수도'] 한가위 보름달 차올랐건만...시린 가을밤, 정적은 더 깊어가네
    작가 2017.09.29 18:50:44
    달이 익어가고 있다. 얼마 지나지 않으면 휘영청 둥근 달이 차오를 터이다. 한가위 보름달 뜬 밤 풍경을 그린 조선 영조 시절의 화원화가 김두량(1696~1763)의 ‘월야산수(月夜山水)’를 꺼내볼 때가 왔다. 보름달이 떠올랐건만 무슨 까닭인지 스산한 마음이 드는 그림이다. 맨살로 밤바람을 맞는 게 서늘해진 기온 탓인지, 뒤숭숭한 세상사 탓인지 혹은 누구를 향한 것인지 알 수 없는 아련한 그리움 때문인지 모를 일이다. 그림 왼쪽 위에 ‘갑자년 중추에 김두량이 그렸다(甲子中秋金斗樑寫)’고 적혀 있다. 당시 갑자년은 1744년이었고, 그
  • [조상인의 예(藝)-<30>이대원 '산'] 생동감 넘치는 가을빛 山...풍요로움·행복을 품다
    작가 2017.09.22 17:35:19
    가을 햇살에 나뭇잎이 파르르 떨린다. 연둣빛 새순도 짙푸른 초록도 아니건만, 초가을 햇빛은 자꾸만 이파리 하나하나를 건드린다. 작당한 듯 바람이 가세해 단풍 들기 전 마지막 생명력을 과시하라며 잎을 들추고 반짝임을 찾아낸다. 그런 영롱한 자연을 바라보는 사람의 마음은 농락당한 듯 어지럽다. 그래서 가을을 타나 보다. 어떤 그림은 남의 숨겨둔 감정을 후벼 파듯 끄집어내거나 아픈 자리 다시 꼬집은 것처럼 흠칫하게 만들곤 한다. 반면 슬픔 하나 없이 마냥 기쁘고 행복하게 만드는 그림이 있으니 이대원(1921~2005)의 작품이 그렇다.
  • [조상인의 예(藝)-<29>강희안 '고사관수도']흐르는 물에 빠져든 선비...속세 벗고 삶의 순리 만끽하다
    작가 2017.09.15 15:01:01
    이 꼴 저 꼴 보기도 싫고 이러쿵저러쿵 거들고 싶지도 않다. 다투고 시비 가려 무엇하랴, 내가 한 발 물러나면 그만인 것을. 그래서 훌쩍 떠났다. 혼자만 아는 숲, 깊숙한 곳에 다다라 호숫가 바위 위에 엎드려 물을 바라본다. 물을 보는 것인지, 물에 비친 나를 보는 것인지, 아니면 물을 보는 척하며 더 먼 곳을 내다보는 것인지. 허리 힘을 빼고, 한쪽 다리를 끌어당긴 품새로 보아 한참을 이렇게 물을 보고 있었고, 한동안 더 물만 바라볼 듯하다. 조선 초기 화단에서 안견이 화원화가를 대표한다면 사대부 출신을 대표하는 화가는 두말할 나
  • [조상인의 예(藝)-<28>안견 '사시팔경도']녹음 짙은 '晩夏'...평화로운 '初秋'...화폭에 담은 사계절
    작가 2017.09.08 15:19:42
    여름이 떠나서 가을이 온 건지 쳐들어온 가을에 여름이 쫓겨간 건지는 알 수 없으나, 가을이 왔다. 영원할 것처럼 기고만장하던 여름은 안녕조차 남기지 않았고, 가을은 도둑처럼 몰래 숨어와 더위를 싹 쓸어갔다. 때가 되어 철이 바뀌는 것을 수십 차례 겪었음에도, 계절이 바뀔 때마다 당혹스러운 마음은 매번 반복된다. 그래서 그림 하나를 꺼내 본다. 신라의 솔거, 고려의 이녕(李寧)과 더불어 우리나라 회화사의 삼대가(三大家)로 꼽히는 안견(1410년 경~1464년 이후)의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다. 사계절의 변화를 별스럽지 않게 그러나
  • [조상인의 예(藝)-<27>채용신 '최익현 초상']74세 노인의 이글거리는 눈빛...우국지사의 기개를 담다
    작가 2017.09.01 14:42:04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을 기념한 우표첩이 발행과 동시에 ‘완판’됐고 예약을 받아 다음 달까지 제작될 추가 발행분은 약 25만 부에 달한다. 우표 속에는 대통령의 어린 시절부터 결혼식과 취임식, 웃고 울며 때로는 비장하고 때로는 침통한 표정까지 다양한 얼굴이 담겨 있다. 왕조시대의 국왕과 민주주의 국가의 대통령은 전혀 다른 성격의 지도자이나 한 나라를 대표하는 최고 권력자라는 공통 선상에서 봤을 때, 조선에서는 상상도 못했을 일이다. 왕을 그린 그림을 어진(御眞)이라고 한다. 지엄한 왕의 얼굴을 감히 그릴 수가 없다 하여 어좌(御坐)의
  • [조상인의 예(藝)-<26>이형록 '책가도']조선 선비의 서재를 엿보다
    작가 2017.08.25 15:58:54
    계절이 바뀌는 시기라 그런지 “옷장이 가득해야 든든하다”는 이가 있는가 하면 “냉장고가 꽉 차면 걱정이 없다”는 사람, “지갑이 두둑해야 안심”이라는 사람도 있다. 채우고 싶은 곳은 제각각일진대 그 중 “책장이 빽빽하면 행복하다”는 이들도 있을 터. 책 사랑이 유난했던 인물이 바로 조선 르네상스의 군주 정조(1752~1800·재위 1776~1800) 임금이다. 그는 책과 책장을 소재로 ‘책가도(冊加圖)’라는 한국 고유의 그림 분야를 개척하게 한 최고의 예술 후원자였다. 조선에서는 예조 산하 도화서가 왕실과 정부를 위한
  • [조상인의 예(藝)-<25>이인성 '사과나무']탐스러운 사과…수탉의 울음…해방의 새벽을 그리다
    작가 2017.08.18 18:09:07
    사과가 익어가는 계절이 왔다. 늦봄 사과꽃이 떨어지고 한여름을 온몸으로 견딘 풋사과는 더위가 한풀 꺾이는 처서(8월 23일)를 전후로 붉은 옷을 챙겨 입는다. 사과하면 대구다. 기후 변화로 사과 주산지가 북상하고 대구의 사과 생산량이 줄어들었다고 하지만 그래도 사과는 대구의 명물이다. 대구 북구 산격2동에는 ‘이인성 사과나무거리’라는 벽화거리가 조성돼 있다. ‘조선의 고갱’이라 불리는 천재화가 이인성(1912~1950)을 기억하는 명소다. 그 이름의 계기가 된 이인성의 1942년작 ‘사과나무’는 늦여름 요맘때 빨갛게 물들기 시작한
  • [조상인의 예(藝)-<24>이쾌대 '해방고지-군상1'] 가슴 벅찬 광복의 기쁨 화폭에...리얼리즘 회화의 진수
    작가 2017.08.11 14:51:13
    “해방(解放)이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본에 외교권을 박탈당한 대한제국은 1910년 8월 29일 주권을 완전히 빼앗긴 후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하고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 1945년 8월 15일까지 꼬박 36년간 식민지배를 겪었다. 그 암흑 같은 시절에서 빛을 되찾은 날이 바로 광복절이다. ‘해방고지’는 그 기쁨의 순간을 그리고 있다. 제목에는 천사가 동정녀 마리아의 임신을 알리는 ‘수태고지’와 같은 작법이 쓰였다. 그림 왼편에서 맨발로 달려오는 하얀 한복 입은 두 여인이 해방의 소식을 전하는 중이다. 얼마나 좋았던지,
  • [조상인의 예(藝)-<23>김윤겸 '영남기행화첩'] 여름날 둘러본 영남 명승 열네곳... 선비들 휴가 여운, 화폭에 담다
    작가 2017.08.04 16:00:00
    한여름 무더위가 최고조에 올랐고, 여름 휴가철도 절정을 맞았다. 휴가지에서의 시원한 기억, 뜨거운 추억을 가슴 속이나 휴대폰 사진첩에만 넣어두기엔 아쉬움이 진하다. 그런 마음이야 조선의 선비도 다를 바 없었으니 진재 김윤겸(1711~1775)은 50대의 어느 여름에 다녀온 영남지역의 명승 14곳을 화폭에 담았다.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이 소장한 보물 제1929호 ‘영남기행화첩’이다. 그 첫 그림인 몰운대(沒雲臺)는 부산 다대포해수욕장 인근, 바다로 비죽 튀어나온 땅이다. 원래는 섬이었지만 낙동강 토사가 쌓여 육지와 연결된 곳으로 언덕
  • [조상인의 예(藝)-<22>최욱경 '환희'] 색채의 환희에 입힌 불꽃같은 삶
    작가 2017.07.28 17:50:42
    유난히 기분 좋은 날이 있다. 알람이 울리지도 않았건만 자연스럽게 눈이 떠졌고, 털어 말린 머리가 뜻대로 자리 잡았으며, 무심코 집어든 양말이 바지 색과 썩 잘 어울리는 데다 출근길 지하철이 기다리지 않게끔 맞춰 도착했다. 딱히 특별할 일 없지만 그런 소소함에 기분이 좋아서, 준비 부족한 기획안이나 심지어 계획안 했던 사랑 고백까지도 받아들여질 듯한 그런 날이 있다. 요절한 화가 최욱경(1940~1985)의 1977년작 ‘환희’는 꼭 그런 기분 좋은 날의 일기 같은 그림이다. ‘환희’라는 단어의 의미는 엄청난 큰 기쁨이지만, 그림
  • [조상인의 예(藝)-<21>박노수 '류하(柳下)'] 청량한 쪽빛 아래 홀로 선 사내...기다림은 기대감이다
    작가 2017.07.21 18:08:13
    눈이 부시게 푸르른 자연 속에 한 남자가 동그마니 섰다. 그를 둘러싼 쪽빛(藍色)이 산이어도 좋겠고, 물이어도 좋겠지만 실상은 가지 늘어뜨린 버드나무다. 한국 현대 동양화단의 대표작가 남정(藍丁) 박노수(1927~2013)가 1980년에 그린 ‘류하(柳下)’, 즉 ‘버드나무 아래서’라는 작품이다. 짙은 파란색 덕분에 눈으로 보기만 해도 온몸이 시원해지는 기분이다. 더운 날씨 탓인지 마치 공기청정 기능을 탑재한 에어컨의 찬바람을 만난 것처럼 반갑다. 자연을 그린 것이건만 기계 바람에 빗댈 정도로, 요즘은 어디를 가야 저토록 맑고 청량
  • [조상인의 예(藝)-<20>백남준 'TV정원'] 수풀 속 꽃처럼 피어난 TV...시간·공간을 초월하다
    작가 2017.07.14 16:18:44
    “히틀러 암살미수 사건이 발생한 1932년 7월 20일에 나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어머니와 아버지의 아들로, 그리고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손자로 태어났다. 음력으로 하면 6월 17일(스탈린에 대항하는 봉기일)이다. 한국 전통에 따라 집에서는 음력 6월 17일에 생일을 축하해주었다. 하지만 학교 서류와 여권에는 7월 20일이 내 공식적인 생일로 기록되어 있다. 나는 이 날을 더 좋아했는데, 왜냐하면 독일국민이 히틀러에 저항한 날이기 때문이다. 스탈린 때문에 흘린 피는 아무런 의미가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처럼 6월 17일 뿐만 아니라
  • [조상인의 예(藝)-<19>김기창 '투망'] 한가로운 산촌...천렵하는 아이들...천재화가가 꿈꾼 '이상향'
    작가 2017.07.07 15:43:15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이 아마도 이쯤 아니겠나. 시인 정지용(1902~1950)이 대표작 ‘향수’를 통해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읊조리던, 애틋한 꿈에서 깨기 싫어 지그시 눈감게 한 그 풍경이 여기 있다. 딱 요맘때 초여름 날씨인 듯 짙푸른 녹음이 산과 논을 가른다. 운보 김기창(1913~2001)의 그 유명한 ‘청록산수’ 중 하나인 1981년작 ‘투망’이다. 화가는 가장 좋아하는 색인 청록을 중심으로 화면의 반 이상을 산으로 채
  • [조상인의 예(藝)-<18>신윤복 '풍속도 화첩'] 눈썹달 내리비친 야밤의 여인 '월하정인'
    작가 2017.06.30 16:19:31
    단원 김홍도(1745~1806년 이후)는 주로 남자를 그렸고, 혜원 신윤복(1758~생몰년 미상)은 여인을 많이 그렸다. 단원의 호방한 필치가 남성적이라면 혜원 신윤복의 섬세한 붓질엔 여성적이라는 평이 따른다. 오죽했으면 신윤복을 여장남자로 설정한 드라마가 방송됐을 정도다. 굳이 둘의 풍속화를 나누고 비유하자면 김홍도의 그림은 백자, 신윤복의 그림은 청자 느낌이 아닐까 한다. 투박하게 만든 듯하지만 장인의 노고가 짙은 백자는 손으로 쓰다듬고 싶고 편히 옆에 둘 만하다. 반면 정교한 기법과 화려한 장식으로 한껏 멋을 낸 청자는 보고
  • [조상인의 예(藝)-<17>김홍도 '풍속도 화첩'] 가벼운 필치로 쓱쓱...익살·정감 넘치는 士農工商의 일상
    작가 2017.06.23 17:52:55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게 닮았지만,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각각 다르다.’ 레프 톨스토이는 그 유명한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첫 장을 이렇게 시작한다. 행·불행의 여부는 차치하고, 별스러울 것 없는 일상의 희로애락은 예나 지금이나 엇비슷하다는 게 맞는 말 같다. 수확의 기쁨은 다소간 고된 몸도 힘을 내게 하고, 흥미진진한 씨름판은 좌중의 눈을 끌어모으며, 신명 난 무동의 춤사위는 보는 사람까지 어깻짓 하게 만든다. 톨스토이가 ‘안나 카레니나’ 한 편에 150여 명 등장인물을 집어넣어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