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에서 앞으로 새로운 임대주택이 잇따라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가 지난 9일 발표한 올해 업무계획에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을 도입하는 방안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시유지를 활용한 '주택협동조합 임대'다. 세입자들이 직접 조합을 구성, 시유지를 빌려 주택을 건립하는 방식이다. 땅값에 대한 부담이 없어 조합원들은 낮은 비용으로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김장수 서울시 임대계획팀장은 "시유지를 매각할지 임대를 할지, 시가 어느 정도 지원해줄 것인지 등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용역을 진행 중"이라며 "결과가 나오면 올해 중 시범사업 착공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총 4,050가구가 공급될 예정인 '장기안심주택'은 현재 LH가 시행하고 있는 '전세임대'와 비슷한 제도다. 세입자가 들어가고 싶은 주택을 선택해 신청하면 시가 집주인과 전세계약을 맺은 뒤 이를 다시 세입자에게 임차하는 방식이다. 수요자의 취향에 맞는 주택을 선정해 지원하는 식이라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운영은 SH공사가 할 예정이며 시는 총 전세보증금의 30%를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의 대표 임대주택이던 '장기전세주택(시프트)'의 경우 앞으로는 좀 더 소형화된다. 기존 국민주택 규모인 전용 85㎡ 이하 대신 65~70㎡로 면적 기준을 낮춘 '시민주택 규모'를 도입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용 60ㆍ85ㆍ114㎡ 3가지 유형으로 공급되던 시프트는 40~85㎡ 규모 중소형 위주로 공급된다. 전체 공급의 10%가량을 차지하던 대형 면적 시프트의 경우 비중이 5% 미만으로 축소된다.
이 밖에 서울시가 민간토지를 임차해 임대주택을 건설, 공급하는 '장기임대주택'과 다가구ㆍ다세대 매입을 통한 '맞춤형 임대주택'도 공급된다. 서민들의 주거복지를 위해 전세보증금 단기지원, 주택바우처 지원, 전세보증금 융자ㆍ알선 등의 제도도 병행해나가게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