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공주, 맨발로 걷는 솔바람길 마곡의 봄에 나를 맡긴다

신록 절경 마곡사서 백범의 발자취 느껴보고<br>동학사로 발길 돌리면 목련이 먼저 봄맞이<br>벚꽃 흐드러진 갑사엔 백제인 예술혼 그대로

꽃샘추위가 가시지 않은 동학사의 대웅전 앞에는 목련이 먼저 봄맞이를 나왔다.

공주 청벽산 중턱에서 내려다 본 금강 줄기.

'춘마곡'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신록이 아름다운 마곡사에는 초파일을 앞두고 연등이 하늘을 가리고 있다.

벚꽃이 피어오르고 있는 공주 신원사의 전경.

계룡산 자락에 위치한 마곡사ㆍ갑사ㆍ동학사에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등 풍부한 볼거리를 품고 있음에도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던 충남 공주시가 오랜 칩거에서 깨어나 기지개를 켜고 있다. 공주가 관광지로 새삼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인근 세종시에 인구가 유입되면서 그 진면목을 인정받고 있는데다 입소문까지 함께 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주 나들이는 중부권의 새로운 관광지로 도약하고 있는 공주의 명소를 둘러보았다.

◇마곡사=‘춘마곡’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신록이 가장 아름답다고 정평이 난 충남 공주시 마곡사에서 2013마곡사신록축제가 27~28일 양일간 ‘맨발로 걷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진행된다.

백범 김구 선생이 사색하며 걷던 ‘백범 명상길’에서는 태화산 등반대회도 열리는데 속도나 산악지식을 평가기준으로 삼는 일반적인 등반 대회와는 달리 자연과 호흡할 수 있도록 맨발로 흙길을 걸어본 후 느낌을 쓰고 이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마곡사 솔바람길은 백범 김구 선생께서 마곡사 백련암에서 수도생활을 할 때 구국의 일념으로 사색했던 발자취를 찾아 조성한 길로 ▲1코스인 백범길(마곡사→김구선생삭발터→군왕대→마곡사, 3㎞, 50분 소요) ▲2코스 명상산책길(마곡사→천연송림욕장→은적암→백련암→활인봉→생골마을→마곡사, 5㎞, 1시간30분 소요) ▲3코스 송림숲길(마곡사→천연송림욕장→은적암→백련암→활인봉→나발봉→전통불교문화원→다비식장→장군샘→군왕대→마곡사, 11㎞, 3시간30분 소요) 등 자신에 적합한 코스를 따라 마곡의 봄을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진행되는 나눔 프로그램으로는 사찰 식재료로 1,000인분의 비빔밥을 만들어 나눠 먹는 ‘화합의 비빔밥 나누기’와 인절미, 화전, 떡과 부침개 나누기가 있다.

마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로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643년에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마곡사라는 이름은 큰 스님들의 설법을 들으려 몰려든 사람들이 마치 삼(麻)밭의 삼이 일어선 것처럼 골짜기(谷)를 가득 메웠다고 해서 붙여졌다.

■제10회 마곡사신록축제(4월27~28일), 장소=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 일원, 문의=공주시청 관광과(041)840-2864~5

◇갑사=‘봄 마 가을 갑사’라는 말대로 갑사는 가을 단풍이 유명하다. 고구려의 고승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하고 돌아가는 길에 계룡산을 지나다가 이곳에 주춧돌을 놓았다는 설화가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해서 대숙전ㆍ천불전 등 10여채의 건물들이 있고 부도와 당간지주ㆍ월인석보판본 등 귀중한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다. 화엄종 10대 사찰의 하나이기도 한 갑사는 5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는데 백제시대의 석조보살 입상이 발견되기도 했다.

◇동학사=마곡사의 말사이자 비구니들의 전문 강원(講院)이다. 신라 중엽 때 사원선사가 창건했다는 설과 백제 때 회의화상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고려조에 와서 도선국사가 중수했으며 태조의 원찰로 삼아 국태민안을 빌었고 그 뒤 순조대와 고종 원년(1964년)에 크게 중건 개수됐다. 지금도 전국 비구니들의 불법가원으로 경내에는 대웅전ㆍ숙모전ㆍ삼은각 등 청아한 불각과 3층 석탑, 부도가 있다. 동학사의 벚꽃은 계룡산벚꽃축제를 개최할 만큼 큰 규모를 자랑한다.



◇공산성(사적 12호)=산성동에 위치한 공산성은 백제시대에는 웅진성이라 불렸고 고려시대 이후에는 공산성, 조선 인조 이후에는 쌍수산성으로 불리기도 했다. 성곽 안의 유적은 1980년부터 1993년까지 발굴조사가 이뤄져 그 결과를 토대로 정비, 복원됐다.

문주왕 원년(475년) 한성 위례성으로부터 이곳으로 도읍을 옮겨 삼근왕ㆍ동성왕ㆍ무령왕을 거쳐 성왕 16년(538년)에 부여로 옮길 때까지 5대 64년간 왕도를 지킨 산성이다. 이 산성은 북으로 금강이 흐르는 해발 110m의 능선에 위치하는 천혜의 요새로서 동서로 약 800m, 남북으로 약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성곽의 총 길이는 2,660m다.

■공주 먹거리

▲동해원: 짬뽕(전국 5대 짬뽕), 충남 공주시 신관동 478, (041)852-3624

▲청벽가든: 장어구이, 충남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 529-2, (041)854-7383

▲새이학가든: 국밥, 충남 공주시 금성동 173-5, (041)854-2030

▲태화식당: 산채비빔밥∙버섯전골,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8(마곡사 주차장), (041)841-8020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