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물연대 총파업 사실상 타결] 산업계 표정 "위기 벗어났다" 안도속 긴급배송 준비등 분주 화물연대의 운송거부 사태가 장기되면서 직접 운송에 나서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LG전자 임직원들이 19일 경남 창원 제1공장에서 1~2톤 차량을 직접 운전해 가전제품을 부산항으로 나르고 있다. /창원=홍재원기자 "어서 정상 복구해야죠. 이제부터가 진짜 일입니다."(LG화학 관계자) 장마까지 겹치면서 야적 작업에 어려움을 겪던 가전ㆍ유화 등 산업계는 파업사태가 막을 내리자 구사일생의 위기에서 살아났다며 안도하고 있다. 부산항 등 주요 항만도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오후 늦게부터 속속 현업에 복귀하고 컨테이너 화물차량의 왕래가 늘어나면서 빠른 속도로 정상화되고 있다. ◇위기에서 벗어난 유화ㆍ화섬=19일 새벽 LG화학 대산공장이 화물수송사를 통해 운송료 20.5% 인상안에 전격 합의하면서 대산유화단지 전체에 "오늘 내에 다른 업체도 모두 합의가 될 것"이라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이날 오후에는 현대오일뱅크가 운송사인 현대택배와 글로비스를 통해 인상안에 합의했고 곧이어 대산단지 전체가 화물연대와의 합의를 도출했다. 현대오일뱅크의 한 관계자는 "자칫 충남 지역 주유소에 기름이 떨어지는 사태를 피하게 됐다"며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대산단지 내 한 대형 유화업체 관계자는 "이번 합의는 전국 곳곳에서 가장 목마른 화주들이 직접 나서 우물을 판 형국"이라면서 "LG화학 등 대형사의 타결안이 지역마다 일종의 기준점이 돼 다른 화주사들이 편하게 협상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여수 석유화학단지도 지난 18일 카고 부문에서 13% 인상안에 합의한 데 이어 이날 컨테이너 부문도 23~24% 수준에서 합의하면서 생산계획을 다시 짜기 시작했다. 제일모직 등 원자재 부족으로 크게 감산한 기업들은 물론 그야말로 구사일생했다는 분위기다. 18일만해도 원재료가 바닥나 가동 중단을 코앞에 뒀던 구미ㆍ김천 화학 및 화섬 기업들도 긴급 배송이 가능한 원자재가 있는지를 긴급 수배하기 시작했다. ◇활기 되찾는 항만들=부산항의 경우 이날 오후5시부터 파업이 풀리면서 야적장에 쌓여 있던 컨테이너가 화물차에 실려 하나 둘씩 실려나가는 등 일단 숨통이 트이고 있다. 부산항 측은 각 부두 야적장 등에 4~5단 높이로 쌓여 있는 컨테이너를 조속히 처리해 부산항 운영이 이른 시일 내에 100% 정상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창원공장 물류창고에 쌓여 있던 에어컨과 냉장고 등 해외수출용 가전제품을 실은 600여개의 컨테이너 물량을 곧 부산항으로 옮겨 미국과 캐나다 등 해외로 수출할 예정이다. 인천항은 부두 앞의 운행 복귀차량이 늘면서 이날 오후6시 현재 처리된 컨테이너가 2,203TEU까지 늘어났다. 인천지역 운송업체들도 협상이 타결됐다는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항만 내에 쌓여 있는 화물 반출을 위해 운송기사 배정을 서두르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아직 안심하기는 일러=가전ㆍ화학ㆍ타이어 등 출하시키지 못한 물량을 산더미처럼 야적해 놓은 업종들은 이날부터 새로운 고민이 시작됐다. 야적물량을 하루빨리 정리해 출고하는 문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삼성토탈의 한 물류 관계자는 "야적 물량을 정리하고 치우는 데는 야적작업의 네 배의 노력과 비용이 들어간다"면서 "공장 입장에서는 사태가 끝났다고 볼 수 없어 긴장을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화물대란이 일단 정리 수순에 들어갔지만 물류가 완전 정상화되는 데는 상당 기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항만들도 기존 물량을 처리하는 데만 최소한 열흘 이상 걸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협상 타결과 기사들의 업무 복귀는 시간 차이가 있고 수출 또한 항구에 쌓인 물량부터 차근차근 내보내야 하기 때문에 정상화까지는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면서 "지난 2003년에도 파업이 끝난 뒤의 후유증이 상당했다"고 설명했다. 일부 업체들은 물류대란이 사태가 아직 완전히 끝난 게 아니라며 막판 돌발 변수에 신경을 쓰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실제로 사업장ㆍ지역별로는 위험요소가 남아있는 게 사실이다. 화물연대 울산지부 현대카캐리어분회는 글로비스와 합의한 운송료 22% 인상안을 이날 부결시키기도 했다. 이미 합의한 사업장들 중 일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운송료 인상폭이 적게 합의됐다"고 뒤늦게 주장하는 차주들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정상범기자 ssang@sed.co.kr 맹준호기자 next@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