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시론/9월 28일] 사막화 방지, 녹색성장이 해법

인위전(殷玉眞)은 사막 한가운데 나무를 심는 여성으로 유명하다. 중국 네이멍구(內蒙古)에 있는 마오우쑤 사막 징베이탕이라는 곳에 20여년 전부터 나무를 심어 사막을 숲으로 만든 장본인이다. 그녀는 모래를 퍼먹고 살 수 없기 때문에 나무를 심었을 뿐이라고 말한다. 그녀의 말처럼 사막화 문제는 지역주민의 빈곤 문제와 직결돼 있다. 사막화란 표면상으로는 토지가 사하라사막 같은 모래땅으로 되는 것이라 하겠으나 그게 전부는 아니다. 건조하기 쉬운 토지에서 가끔씩 내리는 비에 의해 토사가 유출되는 것, 일정 지역에서 생육하고 있던 식물이 사라지는 것, 토사에 염분이 쌓여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잠재력이 감소하는 것 이 모두가 사막화 현상이다. 사막화된 지역은 식량 생산기반이 악화돼 지역주민의 빈곤을 초래한다. 경제성장·생태계 보존 '두토끼' 유엔은 세계적인 빈곤타파와 사막화 방지를 위해 기후변화협약(FCCC), 생물다양성협약(CBD)과 함께 3대 환경협약인 사막화방지협약(UNCCD)을 지난 1994년 채택했다. 사막화는 어느 한 국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전 지구적 차원에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문제라는 인식에서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지구는 사막화 비상사태를 맞고 있다. 중남미와 아프리카 국가는 가뭄과 한발의 영향으로 기아위기를 겪고 있고 중미 과테말라는 국가재난사태까지 선포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아프리카는 약 10억㏊, 아시아는 약 13억㏊가 모래로 뒤덮여 있다. 사막은 새로운 사막을 낳는다. 인간의 무분별한 토지 이용은 생산성을 떨어뜨려 지역주민의 생존을 위협하고 지역주민은 생존을 위해 새로운 땅을 찾아 이동, 또 다시 토지의 재생산 능력을 벗어나게 이용함으로써 토지 황폐지역을 확산시킨다. 이처럼 환경을 악용하는 패러다임의 지속은 지역주민의 빈곤 대물림, 식량생산 기반 악화를 초래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사막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경제성장을 하면서 생태계의 건전성도 제고하는 길이다. 흔히들 경제성장과 생태계 건전성 제고는 상충되는 것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이 둘이 함께 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준 개념이 바로 녹색성장이다. 녹색성장은 정부ㆍ시민단체ㆍ산업계 등 다양한 사회ㆍ경제 주체와 양방향ㆍ입체적 의견소통을 통해 경제성장을 촉진하면서 생태계의 건전성도 제고하는 것이다. 사막화 문제는 환경과 경제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녹색성장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녹색성장 패러다임 확산 및 사막화 방지를 위해 중국ㆍ몽골ㆍ미얀마 등 아시아지역 피해국에 정부ㆍNGOㆍ기업 차원에서 조림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재정적ㆍ기술적 지원을 받아 근대화 이래 유일하게 산림녹화에 성공한 국가가 됐고 이는 녹색성장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발판이 됐다. 사막화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협력 강화, 피해국 주민의 빈곤 완화 방안 등을 논의하는 UNCCD 9차 총회(9.21~10.2)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고 있다. 우리 대표단(수석대표 이상길 산림청 차장)은 한국의 치산녹화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녹색성장을 통한 사막화 방지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한편 경상남도와 공동으로 오는 2011년 제10차 총회 유치를 제안한다. 치산녹화사업 확산계기 삼아야 차기 총회 유치에 성공한다면 사막화 면적 및 피해 인구가 가장 크면서도 아직 한 번도 총회를 유치한 적이 없는 아시아지역 차원에서 뜻깊은 일이다. 또한 사막화 문제를 전인류가 공동으로 해결해야 하는 국제적 이슈로 부각시키고 지구 문제에 대한 우리나라의 외교 역량을 강화하며 우리의 녹색성장 개념을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사막을 만드는 것도 인간이지만 이를 방지하고 해결하는 것도 인간이다. 우리나라의 사막화 방지 노력과 제10차 총회 유치는 작은 싹이 큰 나무가 되고 작은 빗방울이 대양을 이루듯 사막화로 고통 받는 개발도상국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는 통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