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캐시카우인 반도체의 경우 신규 공장을 건설하는데 10조원 이상이 필요하고 디스플레이와 바이오 투자에도 수조원의 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문경영인이 의사결정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10대 그룹의 한 고위 관계자는 “그룹 총수가 구속되는 비상상황이 되면 기업들은 공격적인 투자에 나서지 못하게 된다”며 “삼성도 당분간 현상유지 전략을 펼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오너의 과감한 의사결정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현상 유지와 관리에 치중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의 부재 사태가 현실화한다면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는 각각의 전문경영인이 이끌어가고 그룹 전반과 관련한 사안은 미전실과 계열사 사장단이 협의체 방식으로 결정해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부회장이 국회 청문회에서 해체를 약속했던 미전실은 한동안 존속될 수밖에 없다. 지난해 10월 이 부회장이 등기이사를 맡으면서 4인 대표이사 체제가 구축된 삼성전자는 한동안 권오현 부회장과 윤부근 사장, 신종균 사장 등 3명이 각각 부품(DS)과 소비자가전(CE), IT·모바일(IM) 부문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꾸려갈 것으로 보인다. 특검이 완료되는 시점에 미전실 해체와 맞물려 인사와 조직개편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올해 5월까지 만들기로 한 지주회사 전환 방안은 한동안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정명기자 vicsj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