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융합캠퍼스의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산학융합원은 정부 지원이 끊기면서 운영 예산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직원들의 월급조차 제대로 줄 방법이 마땅치 않다보니 산학협력을 전담할 전문적인 직원 양성은 꿈도 못 꾸는 실정이다.
산학융합원은 그동안 매년 정부로부터 약 20억 원의 운영예산을 받으며 직원 인건비를 충당하고 각종 산학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정부 재정지원이 만료되면서 융합캠퍼스내 기업연구관 입주기업 임대료 수입 등을 통해 자립해야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산학융합원 측의 공통된 설명이다.
오송산학융합원 관계자는 “융합본부 1년 예산이 50억인데 임대료로 벌어들이는 수입은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충북도와 청주시에서 출연금 등 각종 지원을 해주지만 이것만으로는 역부족”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융합원 자체가 생존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보니 비용이 소요되는 기업과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엄두가 나지 않는 것이다.
이에 전국의 산학융합원은 중앙 부처나 지자체 차원에서 운영하는 각종 인력 양성사업 등 사업을 따내기에 혈안이 된 실정이다. 정부 재정지원이 끝난 만큼 구태여 비용을 써가며 당초 취지대로 산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보다는 생존을 위해 독자 노선을 걷는 셈이다. 이처럼 융합원이 생존에 골몰하면서 대학 측과 교류의 접점도 자연스레 끊어지고 있다.
한 산학융합원 관계자는 “지방에도 과거 정부 때 만들어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비롯해 테크노파크,지자체 산하 기업진흥원 등 각종 산하기관이 넘치다보니 정부 지원 사업이 뜨면 득달같이 달려든다”며 “사정이 이렇다 보니 청년 창업 등 설립 취지와 다소 무관해보이는 사업이라도 따내기 위해 혈안이 된 게 현주소”라고 말했다.
중장기적으로 산학협력 전담인력이 양성되지 못한 것이 문제로 꼽힌다. 산학협력은 그야말로 다양한 기업체의 수요를 고려해 적재적소에 교수 등 연구인력과 학생들을 연결해주는 고도로 전문화된 작업이다. 기업과 대학의 가려운 곳을 먼저 나서서 긁어줄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기업 네트워크와 학내 사정에 대한 이해 등이 필수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산학융합원이 예외 없이 대다수 인력을 계약직 직원으로 운영하는 게 현실이다. 이들은 일학습병행, 지역맞춤형일자리 사업 등 특정 사업을 따내면서 채용한 인력으로 해당 사업이 종료되면 자연스럽게 계약이 종료될 수밖에 없다. 해외에서는 기술이전전문인력(TLO) 등 산학협력 전담 직원이 교수 못지않은 처우를 받고 대학마다 전담인력만 수십명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갈 길이 한참 먼 것이다.
한 산학융합원 관계자는 “현장에서 기업과 학생들의 입장을 누구보다 잘 아는 산학협력 전담 인력들의 의견이 정책 결정권자에게 반영되는 게 가장 이상적이지만 현재 한국에서는 꿈도 꿀 수 없는 상황”이라며 “산학융합원 소속 직원들의 평균 재직 기간은 3년이 채 지나지 않을 정도로 파리 목숨 신세인 게 국내 산학협력의 현주소”라고 말했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