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양반다리·꽉 낀 하이힐...새끼발가락 변형 부른다

압력받은 쐐기뼈 바깥 튀어나와

소건막류 심해지면 골반에도 무리

키높이·하이힐 등 되도록 피하고

바닥에 앉는 대신 의자에 앉아야

취업을 준비 중인 A씨는 최근 왼발에서 가장 바깥쪽으로 툭 튀어나온 새끼발가락 쐐기뼈 부분이 너무 아파 병원을 찾았다가 소건막류(小腱膜瘤)라는 진단을 받았다. 생소한 질환이어서 원인을 묻자 의사는 “딱딱한 바닥에 책상다리(양반다리) 자세로 오래 앉아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A씨는 의자에 앉아 책상에서 공부하는 시간도 많지만 노트북으로 인터넷 강의를 듣거나 자기소개서를 쓸 때, 방에서 혼자 식사할 때는 작은 상을 펴고 맨바닥에 책상다리 자세로 앉아서 하는 버릇이 있다. 어려서부터 거실에서 TV를 보거나 가족이 상을 펴고 바닥에 앉아 식사할 때 유지해온 익숙한 자세다.





주말이면 산에 오르는 50대 B씨는 어려서부터 책상다리 자세에 익숙하고 발볼도 넓은 편이다. 오래전부터 왼쪽 새끼발가락 바깥쪽이 빨갛게 되고 굳은살이 박였다. 운동화·구두는 265㎜, 등산화는 270㎜를 신어왔는데 오래 걸으면 왼쪽 새끼발가락 바깥쪽이 아파 1년여 전부터 등산화부터 5㎜ 큰 것으로 바꿨더니 하산 때 아픈 게 조금 나아졌다. 얼마 전 신던 등산화는 창갈이를 맡기고 새 등산화를 사려는데 가게 주인이 “발볼이 유난히 넓은 편이니 발볼이 넉넉하게 나온 모델은 270㎜, 그렇지 않은 모델은 275㎜를 신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인은 10여개의 등산화 모델 중 발볼이 넓게 나온 2개 모델을 권했고 B씨는 270㎜인데도 편하게 신고 있다. 운동화도 265㎜가 불편해 270㎜로 바꿨다.

이처럼 유난히 새끼발가락 바깥쪽이 아프고 빨갛게 변해 굳은살이 생긴다면 소건막류를 의심해볼 수 있다. 혹처럼 튀어나왔다고 해서 ‘혹 류(瘤)’가 붙었는데 오랜 좌식생활과 책상다리 자세, 불편한 신발로 인해 발생한다. 책상다리하면 특히 아래에 놓이는 발의 새끼발가락 쐐기뼈 쪽에 강한 압력이 가해져 뼈가 튀어나오는 등 변형이 생기고 염증(점액낭염)과 통증을 초래한다. 새끼발가락 쪽 발바닥에 굳은살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지 않고 신발을 선택하면 발 건강을 해친다. 하이힐이나 앞이 뾰족한 신발을 즐겨 신는 여성, 남들보다 발볼이 넓거나 키높이 구두를 자주 신는 남성 등에게 흔히 나타난다. 키높이 깔창을 사용해 뒷굽이 앞보다 3~4㎝ 이상 높아져도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발가락에 무게가 쏠리는 상태에서 새끼발가락이 접히면서 큰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양반다리 자세를 자주·오래 취하면 새끼발가락 바깥쪽이 붉게 변하고 염증·통증이 생길 수 있다. /이미지투데이




하이힐 등을 자주 신어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어지고 안쪽 쐐기뼈 부분이 돌출해 신발과 마찰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무지외반증과 위치만 다르고 양상은 비슷하다. ‘하이힐병’ ‘걸그룹 직업병’으로 불리는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 쪽으로 실리던 체중이 두세 번째 발가락뼈 쪽으로 전달돼 그쪽 발바닥에 굳은살이 생기기도 한다. 심한 경우 엄지발가락의 관절이 빠져 보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소건막류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증세가 심해지면 다른 부위에까지 무리가 생긴다. 족부전문의인 연세건우병원 최홍준 원장은 “소건막류 증상이 악화하면 무게중심이 무너져 발목·무릎·골반·허리 등에 무리가 간다”며 “불편한 신발을 피하고 서 있거나 걷는 시간을 줄이는 등 생활습관을 개선해도 증상이 지속되면 전문의와 치료방법을 상담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가급적 하이힐, 키높이 구두, 꽉 끼는 신발을 피하고 불가피하게 신었다면 틈틈이 신을 벗어 휴식을 취하거나 발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 책상다리할 때는 방석을 깔고 가급적 좌식생활을 피해야 한다.

권혁빈 동탄시티병원 관절센터 원장은 “이미 변형된 발가락을 보존적 치료로 되돌릴 수 없지만 발볼이 넓은 신발을 신고 실리콘 패드나 스펀지를 이용해 마찰을 줄이는 등 다양한 보조기 착용으로 변형을 늦추는 것은 가능하다”며 “통증이 심하거나 다른 신체 부분에까지 영향을 준다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