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통화로까지 번진 냉전이 우리에게도 곧바로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원화는 통화가치가 위안화를 따라가는 위안 블록에 있어 환율 급변동의 유탄을 직접 맞을 수밖에 없다. 미중 간 환율갈등이 고조되던 지난해 8월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무역전쟁이 환율전쟁이 됐다’는 제목의 글에서 “아시아 국가들에 환율전쟁의 낙진이 떨어질 수 있다”며 가장 먼저 한국을 지목했다. 당장 원화가치가 급격히 하락할 경우 외국인 자금 이탈을 비롯한 시장의 불안으로 이어지고 이를 방어하기 위해 통화당국이 나서면 외환보유액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더욱 걱정되는 것은 우리 기업들이다. 국내 기업들은 전체 외화표시 회사채의 80% 이상이 달러 부채다. 코로나19 사태로 손실이 커지며 이자상환 능력이 취약해진 상황에서 달러 빚이 시장 불안의 뇌관으로 떠오를 수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에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준비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19 직후 체결한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를 과도하게 믿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품게 한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통화전쟁이 환율을 넘어 자본시장과 실물 전반으로 확산할 경우에 대비한 종합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금융시장과 기업들은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무너질 수 있을 만큼 체력이 허약해졌다. 위기상황이 벌어진 뒤 문제가 발생한 곳에 달러를 공급하면 된다는 생각은 순진하면서도 위험천만한 발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