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주의할 게 있다. 박인기 경희대병원 안과 교수는 “장기간 사용하지 않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안과에서 눈 상태를 검사하고 렌즈의 도수·모양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이밖에도 눈물의 분비·마름 정도, 염증 정도, 렌즈의 종류·모양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눈 건강을 챙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각막은 공기 중의 산소와 눈물층의 눈물을 필요로 한다. 콘택트렌즈는 이를 방해해 각종 문제를 유발한다. 오랫동안 착용할수록, 렌즈가 더러울수록 합병증 발생률은 높아진다. 렌즈 이외에도 착용자의 눈 상태, 착용 전후 눈의 변화 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렌즈의 손상 여부도 잘 살펴봐야 한다. 렌즈에 이물이 있는지, 찢어지거나 깨진 데가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 후 세척·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 소독·관리가 필요 없는 1회용 렌즈가 대안일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박 교수는 “장시간 렌즈를 착용하다 보면 각막에 산소 공급이 오랫동안 차단돼 각막이 붓거나 안구건조증으로 세균에 감염되거나 각막이 쉽게 까져 심한 통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콘택트렌즈를 오랫동안 착용하다 보면 눈이 따갑거나 건조해진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장시간 실내에서만 활동하다 보면, 특히 스마트폰 사용 및 TV 시청 시간이 늘어나면 눈의 피로도가 가중된다. 이로 인해 눈물샘의 기능이 떨어져 눈물이 제대로 생성되지 못하면 안구건조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김응석 경희대병원 안과 교수는 “안구건조증은 비교적 건조한 가을·겨울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에어컨 사용으로 실내가 건조해진 여름철에도 발생할 수 있어 방심은 금물”이라며 “증상을 방치하면 두통·시력저하·각막염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 바람 직접 노출을 최소화하고 실내 환기, 젖은 수건·가습기를 이용해 실내습도를 6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게 좋다”고 권했다.
때에 따라서는 인공눈물이 유용할 수 있다. 하지만 부족한 눈물을 일시적으로 공급해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뿐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아니다. 다회용 인공눈물은 세균 번식을 막기 위해 보존제를 첨가하기도 하는데 각막염 등 안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보존제가 첨가된 인공눈물은 사용을 자제하고 사용횟수를 하루 6회 이내로 제한하는 게 좋다. 1회용 인공눈물은 12시간을 넘겨 나눠 쓰는 걸 피해야 한다.
김 교수는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해서는 가벼운 눈 운동을 하거나 눈을 감은 채 휴식을 취하고 눈을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 세균 감염을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