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체들은 여전히 생산 라인을 전환하는 데 노조와의 협의를 거쳐야 한다. 특정 차종을 정해진 공장이 아닌 다른 공장에서 생산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런 경직성으로 인해 신차의 인기가 높아도 고객이 6개월 넘게 대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 지난 2·4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적으로 확산할 때 수출 차종을 만드는 곳은 일감이 없어 휴업했지만 내수 차종을 만드는 공장은 일감이 넘쳐 물량 불균형을 낳기도 했다. 인기 모델을 생산하는 공장은 월 4회씩 특근을 해야 하고 비인기 모델을 생산하는 곳은 특근 기회조차 박탈당하는 결과가 발생하는 셈이다.
생산량 조정도 노조와의 협의 없이는 불가능하다. 시장 수요에 맞춰 고객 인도 대기일을 최소화하는 게 회사와 고객 모두에게 득이지만 생산량 조정은 노조에 발목 잡히기 일쑤다. 한국지엠은 9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트랙스의 미국 수출 물량이 늘며 부평2공장의 시간당 생산대수(UPH)를 기존 28대에서 30대로 2대 늘리려 했지만 노조의 반대에 부딪혔다. 노조는 작업을 중단하고 공장장실을 점거하며 실력 행사에 나섰다.
회사가 적자 경영을 이어가는데도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모습도 기득권이 된 완성차 업계에서는 일상인 풍경이다. 한국지엠 노조는 2014년 이후 매년 영업손실을 내고 있지만 올해 기본급 12만원, 성과급 2,200만원 인상을 요구하며 오는 14일까지 사측이 입장을 내놓지 않을 경우 투쟁을 불사한다는 방침이다. 르노삼성 노조 역시 회사가 6년 만에 적자 전환할 상황인데도 기본급 7만1,687원 인상, 코로나19 극복 등 명목으로 700만원 일시금을 요구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임금교섭을 두고 2년째 평행선을 달리는 등 임단협 탓에 경영활동이 차질을 빚고 있다./서종갑기자 gap@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