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씨는 “주변의 도움으로 좋은 곳에 기부할 수 있었다”며 “다만 코로나19가 사람들 간 정(情)도 막는 것 같아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김장, 연탄 나르기, 헌혈 등 봉사 활동마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가 격상되면서 어려운 이웃에 대한 면대면 봉사 활동이 법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자에 한해 봉사 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등 정부가 취약 계층을 ‘보듬기’ 위한 조처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13일 ‘따듯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 운동(나눔운동)’에 따르면 지난해 자원봉사자 수는 1만 3,783명에 불과했다. 이는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 2019년(4만 4,790명)보다 70%가량 급감한 수치다. 자원봉사자 수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8년까지만 해도 5만 2,758명에 달했다. 하지만 이듬해 1만 명 가까이 줄었다. 올해는 3만 명 넘게 줄어드는 등 감소 폭이 커졌다.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 격상과 코로나19 감염 부담이 맞물리면서 선뜻 봉사에 나서는 이들마저 급감한 것이다. 나눔운동 관계자는 “보통 9월부터 활동이 시작되는데 거리 두기 4단계하에서는 법적으로 연탄 단체 봉사가 불가능하다”며 "올해 활동을 어떻게 해야 할지 논의 중”이라고 토로했다.
귀중한 생명을 구하는 헌혈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대한적십자사가 공개한 ‘3개년 헌혈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월별 평균 헌혈 건수는 21만 5,951건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23만 2,591건)과 비교해 7% 감소했다. 특히 4단계 거리 두기 격상 이후 학교나 군부대·공공기관 등 단체 헌혈이 줄줄이 취소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현 상황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방치·소외 등으로 인한 취약 계층의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김치나 연탄 등 생활 필수품이 기초생활수급자나 독거노인, 장애인 가정, 다문화 가정 등에 주로 지급된다. 게다가 헌혈이 감소하면 위급한 환자들이 제때 혈액을 공급받지 못한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가 따듯한 나눔의 손길마저 가로막으면서 환자·독거노인 등을 위기로 몰 수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구조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다.
김범중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정부에서 기존 체계를 이용하되 유기적으로 자원봉사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며 “백신을 맞은 사람에게 마스크 착용, 가림막 설치와 같은 방역 수칙을 철저하게 지키도록 하면서 자원봉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