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찬바람 부는 주택건설…수주총액 환란 후 최악

작년 66조 수주…30%나 줄어

"당분간 주택경기 악화 우려"

지난달 29일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주택 건설 수주액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해 건설 부담이 커진 데다 주택 수요자의 관망세 등으로 청약 시장도 약세를 나타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건설 수주 총액은 65조 9137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2022년(94조 7096억 원)보다 30.4% 줄어든 액수다. 1년 사이 감소율로 보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46.0%) 이후 25년 만에 가장 크다. 수주 총액은 2019년(69조 1093억 원) 이후 4년 만에 가장 적었다.





전체 주택 공사에서 약 90%를 차지하는 민간 건설 시장 침체가 수주 급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민간 부문이 발주한 주택 건설 수주 총액은 2022년보다 31.9% 줄었다. 리먼브러더스 사태 당시인 2008년(-32.1%) 이후 15년 만의 최대 감소 폭을 기록한 것이다. 금액으로는 60조 5463억 원에 그쳤는데 2019년(60조 6798억 원) 이후 가장 적었다. 각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 부문에서 발주한 주택 건설 수주액이 5조 3143억 원으로 전년보다 3.4%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민간 주택 건설 시장 부진이 더 두드러졌다.

주택 수주가 침체된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 때문으로 풀이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각국 중앙은행은 통화 긴축 정책으로 급선회했다. 각국이 금리를 올리자 시중의 유동성이 줄며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한국 역시 2021년 0.5% 수준이었던 기준금리가 지난해 3.5%까지 상승했다. 조달 비용이 급등하면서 주택 시장에 끼친 충격은 상당했다. 대출 부담 등이 높아지자 청약 수요도 급감했고 주택 수요자는 관망세로 돌아섰다. 건설 업체 역시 조달 부담이 커지면서 사업성 악화에 시달리게 됐다. 부동산 개발 사업을 금융 비용으로 충당했던 일부 기업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로 이어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건설업의 경기 전망도 부정적으로 돌아섰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기업들의 건설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지난달 75.5를 기록했다. 이 지수가 100을 밑돌면 건설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연준이 촉발한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주택 수요·공급 전반이 급속히 얼어붙었다”며 “지난해 주택 건설 수주 총액 감소 폭이 유달리 컸던 것도 그만큼 부동산 경기가 호황에서 불황으로 급변했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주택 건설 경기 악화가 올해 고용·소비 등 경제성장률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국내 건설업은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의 약 7%를 차지하는 업종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건설업은 중·저소득층의 고용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업종”이라며 “저소득층의 소비 성향이 다른 계층에 비해 비교적 높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건설업 부진은 소비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