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시내 주요 상권 가운데 평균 임대료가 가장 비싼 곳은 중구 북창동으로 조사됐다. 수년간 최고 비싼 상권 자리를 지켰던 명동거리와 강남역은 코로나19 이후 관광객 감소와 공실률 증가 여파로 임대료가 낮아지면서 북창동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서울시는 지난해 8~11월 북창동·명동·압구정로데오역 등 주요 상권 145곳의 1층 점포 1만 2531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상가임대차 실태 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원들이 직접 점포를 방문해 임대차 및 영업 현황과 관련된 임대료, 임대면적, 권리금, 초기 투자비, 관리비, 영업 기간 등 18개 항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서울 주요 상권의 단위면적 1㎡당 통상 임대료는 평균 7만 4900원으로 전년(6만 9500원)보다 7.8% 상승했다. 월 통상 임대료는 보증금 월세 전환액에 월세와 공용 관리비를 더한 금액이다. 점포당 평균 전용면적 60.2㎡(18.2평)를 적용하면 통상 임대료는 450만 원으로 조사됐다. 보증금은 1㎡당 95만 6000원으로 평균 점포면적 적용 시 5755만 원이었다.
주목할 점은 수년간 가장 비싼 상권이었던 중구 명동거리가 2위로 밀려나고 인접한 북창동이 1위를 차지한 사실이다. 지난해 1㎡당 통상 임대료가 가장 높은 곳은 북창동으로 18만 원이었다. 평균 전용면적으로 환산하면 월평균 임대료가 1087만 원에 달했다. 명동거리는 17만 3700원으로 2위였고 명동역(15만 3600원)·압구정로데오역(14만 800원)·강남역(13만 7900원)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선 조사들과 비교했을 때 이례적이다. 2020년(강남역 1위)을 제외하면 명동거리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2017년 이전은 자료 부재로 확인 불가) 1위 자리를 지켰다. 전년도인 2022년 조사 때는 북창동 임대료가 명동거리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명동거리가 1위 자리를 북창동에 내준 데는 코로나19 여파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명동거리는 외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아 코로나19 기간 방문객이 급감했고 그 여파가 지난해 임대료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반면 북창동 상권은 내국인 수요 기반이어서 코로나19 충격이 덜 했고 거리 두기 해제 후 서울시청·한국은행 등 주변 직장인들의 외식 수요가 늘면서 공실 우려가 적었다는 해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상권 공실률이 올라가면서 명동거리 임대료가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반면 북창동의 경우 인근에 한국은행이나 기관들이 많고 내국인들이 많이 찾기 때문에 큰 충격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서울 주요 상권의 월평균 매출액은 1㎡당 46만 3000원으로 나타났다. 평균 전용면적으로 환산하면 점포당 2787만 원이다. 지역별로는 시청역(96만 600원), 신촌역(95만 7700원),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94만4000원), 대치역(88만 5300원), 상수역(86만 8500원), 삼성역(86만 6000원) 순으로 1㎡당 매출이 높았다. 평균 초기 투자비는 점포당 1억 7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권리금(6438만 원), 보증금(5365만 원), 시설 투자비(5229만 원) 순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서울시 공정거래종합상담센터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시는 2015년부터 실태 조사를 시작해 2019년부터 임대차인 간 분쟁 예방 및 분쟁 해결을 위한 공정 자료로 사용되도록 정기적으로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있다.
최선혜 서울시 소상공인담당관은 “상가임대차 분쟁 원인 가운데 임대료 관련 분쟁이 68%를 차지한다”며 “실태 조사 결과가 분쟁 예방 및 조정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