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의 단일화를 둘러싼 국민의힘의 내분이 후보 교체 여부를 놓고 극한 대결로 치닫고 있다. 이런 가운데 두 후보 측 대리인들은 9일 밤 단일화 방식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결렬됐다. 두 후보 측은 여론조사 대상에서 ‘역선택 방지’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을 제외할지 여부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일화 일정에 돌입한 가운데 김 후보는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 참석해 “강제 단일화는 김문수를 끌어내리고 무소속 후보를 우리 당의 대통령 후보로 만들기 위한 작업”이라며 “응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대단히 실망스럽다”며 “우리 의원들이 기대한 내용과는 완전히 동떨어졌다”고 김 후보를 비난했다.
법원은 이날 저녁 김 후보 측 원외 당협위원장들이 제출한 ‘전국위원회와 전당대회 개최 중단’, 김 후보가 낸 ‘후보 지위 인정’ 가처분 신청을 모두 기각했다. 국민의힘이 이날 밤 의원총회에서 ‘두 후보의 협상 불발시 후보 재선출 등 모든 권한을 비상대책위원회에 위임한다’고 의결함으로써 당 지도부는 초유의 대선 후보 교체 절차에 돌입했다. 당 지도부는 김 후보 선출을 취소하고 한 후보를 대선 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를 강행하기로 했다. 이에 김 후보 측은 당의 후보 교체를 무효로 하는 가처분 신청을 추가로 제기할 수도 있다. 법원이 이날 ‘후보 지위 인정’을 기각한 사유로 ‘현재 당이 김문수의 대선 후보 자격을 전면 부인하고 있지 않다’고 제시했기 때문에 법률 논쟁이 완전히 매듭지어진 것은 아니다.
내분이 증폭되면 단일화 효과를 거두기는커녕 당과 후보는 큰 상처를 입게 된다. 공식 절차를 거쳐 선출한 대선 후보를 명백한 하자도 없이 여론조사를 통해 외부 인사로 바꾸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있다. 물론 김 후보가 ‘즉시 단일화’를 약속하고도 대선 후보로 선출된 뒤 소극적 자세를 보인 것도 문제다. 국민의힘이 ‘단일화’ ‘빅텐트’ 등 명분을 내세우려면 자유민주주의의 기초인 법과 원칙을 따라야 할 것이다. 두 후보의 막판 타협과 여론조사를 거쳐 단일 후보를 결정하려면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와의 대결에서 누구의 경쟁력이 더 높은가를 기준으로 판단했어야 했다. 상식과 룰을 저버린 권력 다툼을 멈추고 수권 능력과 비전을 보여줘야 ‘정권 재창출’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