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여름 집중호우에 대비해 저지대, 반지하 주택 등 위험지역 집중 관리에 나섰다. ‘물난리’를 예방하기 위해 반지하 주택이 모여 있는 지역에는 침수경보 신기술을 도입하고 하천 변에는 빗물이 한꺼번에 쏠리지 않도록 ‘물그릇’을 추가하기로 했다. 또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동시에 취약 계층에는 가구별로 동행 파트너를 매칭해 사고를 막을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2일 시청에서 ‘2025년 풍수해 안전 대책 추진 현황 보고회’를 열고 풍수해 대비 상황을 종합 점검했다. 이날 오 시장은 “재난은 언제나 사회적 약자에게 더 먼저, 더 깊은 상처가 된다”며 “서울시는 침수 예·경보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과 어르신을 보살피는 동행 파트너제로 위험이 닥치기 전 먼저 손을 내밀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서울시는 반지하 주택이나 지하 차도, 하천 산책로 등 저지대를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관악·동작·영등포구 등 15개 골목길에 전국 최초로 ‘반지하 침수경보 시설’을 시범 도입한다. 이는 수위 관측 장비가 달린 레이더 센서가 실시간 수위를 감지해 경보해주는 시스템이다. 기존 관측 장비는 설치 시 넓은 공간이 필요해 주요 대로변에 한정됐다는 게 단점이었다면 신기술 레이더 센서는 가로등·전신주 등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어 침수 감시망을 좁은 골목 단위까지 확대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 강우량계와 도로수위계를 활용해 ‘저지대 침수 우려 지역’ 실시간 수위 정보를 수집한 뒤 침수 위험을 예·경보한다. 예보나 경보가 발령되면 각 자치구는 주민에게 신속하게 침수경보 재난문자를 전송함과 동시에 반지하 가구별로 지정된 ‘동행 파트너’ 2887명을 파견해 장애인·노인·아동 가구의 대피를 돕는다.
아울러 시는 ‘빗물 그릇’ 기능을 확대한다. 빗물 그릇은 집중호우가 내릴 때 빗물을 저장해 빗물이 시내 하천으로 몰려 급격하게 수위가 상승하는 현상을 억제해준다. 시는 기존에 서울대공원 등 7개소에 이어 올해 평화의공원·송파나루공원 등 5개소를 추가해 12개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빗물 최대 75만 7000톤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 밖에도 시는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수도권 기상청과 일대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전용 ‘핫라인’을 구축하고 경찰·군·소방과 협의체를 운영해 현장 대응력을 높인다. 또한 서울시는 이달 15일부터 10월까지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도 24시간 운영한다. 오 시장은 “폭염·폭우 등 기후위기가 전 지구적 현상이 돼 일상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재난 대비를 더 철저히 해야 한다”며 “시스템, 시설 점검 등 빈틈없는 사전 준비와 칸막이를 넘어서는 협업으로 풍수해 대책을 실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