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 중 유일하게 미국에 최고 신용등급을 매겼던 무디스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정부부채가 급등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제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부채로 인한 국가신용등급 하락이 겹치면서 지난달 금융시장을 뒤흔들었던 ‘셀 아메리카’가 재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무디스는 16일(현지 시간)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는 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바꾸면서 당분간 추가 등급 조정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무디스는 앞서 2023년 11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하면서 등급 하향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무디스는 미국 정부의 부채 급증이 악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봤다. 무디스는 특히 “미국 행정부와 의회는 연방 재정적자와 이자비용 증가 흐름을 뒤집을 조치에 합의하지 못했다”며 “현재 논의 중인 재정정책 제안들로도 중장기적인 의무 지출 및 적자의 실질적인 감축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정책을 정면 비판했다.
백악관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와 무디스에 화살을 돌렸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감세정책)’을 통과시켜 바이든이 초래한 난장판을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무디스가 믿을 만한 곳이었다면 지난 4년간 재정적 재앙이 펼쳐지는 동안 침묵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번 등급 조정 여파로 국채 등 달러 자산에 대한 투매 가능성도 거론된다. 뉴욕타임스(NYT)는 “금리가 이미 높은 상황에서 정부 차입 규모가 훨씬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그동안 국채 투자자들의 불안은 컸다”며 “(이런 우려가) 본격적인 부채 위기로 이어지는 ‘눈덩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