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총리가 26일 인공지능(AI) 기술이 소수 국가와 기업이 독점해서는 안된다며 중국이 세계 AI 보급을 맡겠다고 주장했다.
리창 국무원 총리는 이날 상하이 엑스포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인공지능대회(WAIC) 개막식에서 “현재 (AI) 핵심 자원과 역량은 소수의 몇 개 국가, 소수의 몇 개 기업에 집중돼있을 뿐”이라며 “만약 우리가 기술 독점과 통제·봉쇄를 한다면, AI가 소수 국가와 소수 기업만의 게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국가·기업·집단은 AI를 평등하게 발전시키고 이용할 권리를 가져야 한다”며 “우리는 경험과 기술을 세계 각국, 특히 ‘글로벌 사우스(남반구의 개도국을 통칭)’의 능력 배양을 돕는데 쓸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리 총리는 글로벌 AI 거버넌스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중국이 선도적 지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취지의 발언도 했다. 그러면서 국가간 협력을 위해 ‘세계AI협력기구’ 설립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현재 글로벌 AI 거버넌스에는 전반적으로 여전히 파편화 상태가 나타나고 있고, 특히 각국이 통제 철학과 제도 규칙 등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며 “이른 시일 내에 넓은 공감대를 가진 AI 글로벌 거버넌스 프레임과 규칙을 만들어야 하고, 우리 또한 다자 협력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중국은 혁신 자원과 활력이 충분하고 적극적으로 오픈소스 발전을 추동하고 있다”며 “우리는 각국과 함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의 난관을 돌파하고 오픈소스 개방 강도를 높여 AI 발전이 더 높은 수준에 이르도록 함께 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리 총리는 “우리는 국제 사회에 더 많은 ‘중국의 방안’을 제공하고 세계 AI 거버넌스에서 더 많은 ‘중국의 지혜’를 공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이날부터 28일까지 'AI 시대의 글로벌 연대'를 주제로 연례 WAIC를 개최한다. 화웨이·바이두 등 중국 주요 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구글·아마존·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함께 약 7만㎡의 공간에 3000여종의 전시물을 선보인다. 주최 측은 이번 대회에 대형언어모델(LLM) 40여종과 AI 단말 제품 50여개, 휴머노이드 로봇 60여종이 전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