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7월보다 14% 줄어든 1만 4000여 가구 수준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입주 물량은 282가구에 그친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8월 전국에서 입주가 예정된 아파트는 1만 4720가구다. 올해 월 평균 입주 물량 2만 90가구에 못미치는 규모다.
수도권은 8985가구로, 6월 1만 3977가구에서 7월 1만 272가구로 줄어든 데 이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가 7360가구, 인천은 1343가구, 서울은 282가구다.
경기는 평택화양휴먼빌퍼스트시티(1468가구), 고양시 일산동구 더샵일산퍼스트월드 1·2단지(1603가구) 등이, 인천은 계양구 제일풍경채위너스카이 A·B블록(1343가구)가 입주한다. 서울에서는 282가구 규모의 강남구 대치동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가 유일한 입주 단지다.
지방에서는 5735가구가 입주 예정이다. 충남 1802가구, 대구 1300가구, 부산 1014가구, 강원 456가구 등의 입주가 이뤄진다.
직방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 추세가 9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정부의 6·27 대출 규제가 새 아파트 입주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6·27 대출 규제로 수도권·규제지역에서는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면서 대출 규제 시행 후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낸 아파트 단지 수분양자의 자금 부담이 커졌다. 이와 함께 모든 단지에서 소유권 이전 등기 전 세입자의 전세 대출 이용이 제한되면서 세입자가 전세 대출로 보증금을 마련하고, 그 자금으로 수분양자가 잔금을 납부하기가 어려워졌다. 직방 관계자는 “일부 수분양자는 자금 여력이 있는 세입자 만을 받아들이거나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그 결과 입주율 저하와 함께 전세 시장 축소, 월세 전환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