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앞으로 필연적으로 늘어나게 될 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전력망 인프라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새롭게 정비해야 한다"면서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할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기후 위기에 따른 폭염과 폭우를 겪고 있다. 이 같은 기후 위기는 전 지구적 현상이라 피할 수도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결국 에너지 전환은 필수 과제가 됐다. AI(인공지능) 혁명까지 더해진 상황에서 전력망 개선을 통한 재생에너지 공급이 매우 시급해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장거리 송전의 비효율성을 낮추고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방안을 모색하라"고 관계 부처에 지시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도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제6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방안이 논의됐다"며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풍부한데 다 전력망이 시급한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K그리드 구축 구상의 한 축으로서 지난 10일 말한 RE100 산단 조성 계획과 호남 지역 전력망 접속 대책 후속 시리즈"라며 "대통령도 매우 큰 관심을 가지고 조속히 추진하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어 "다가오는 전기화 시대의 핵심은 재생에너지가 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가 늘면 일부 지역에서 대형 발전소로 전기를 만들어 전국으로 장거리 송전하는 지금의 전력체계는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전력을)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소규모 전력망을 전국에 만들어 송전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분산 에너지 전력망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전남 지역 철강, 석화 산단을 재생에너지 마이크로 단지로 조성하고 자원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전남대학 캠퍼스, 스마트팜, 군부대 등에 그리드를 구축하고 다방면으로 연결해 인공지능 재생에너지 기반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는 시범사업을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마이크로 그리드는 미래형 전력체계다. 작은 지역에서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남으면 저장하고 모자라면 저장한 전기를 사용해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최신 기술의 작은 전력망을 전국에 만들어 그물처럼 연결하는 것이다.
김 실장은 "한국에너지공대, 전남대, 광주과기원 중심으로 한국판 실리콘밸리가 될 수 있는 K그리드 인재 창업 밸리를 조성해 전력 분야 인재를 세계적 수준으로 양성하겠다"며 "지역 에너지 산업과 인재를 집적화해 어벤저스라 할 수 있는 K에너지 원팀을 만들어 선도국으로 가겠다"고 말했다.이어 "이를 통해 전력강국 지위를 확고히 하고, 전력 기술과 상품을 전 세계에 수출해 에너지 상품을 장차 제2반도체로 만들겠다는 것이 대통령 생각"이라며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모델을 적용해 주민들이 자신의 마을, 학교, 전기생산에 참여하는 에너지민주주의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