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이뤄진 수도권 아파트 거래 중 가격이 오른 비중은 줄고, 가격이 내린 경우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대출 규제가 수도권에 집중되며 매수 심리가 전반적으로 위축된 것으로 해석된다.
11일 직방은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전월 46.5% 대비 2.1%포인트 줄었다고 밝혔다. 반면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포인트 늘었다.
이 같은 흐름은 특히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전월(48.1%) 대비 3.1%포인트 줄었다.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포인트 증가했다.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하고,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었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인천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상승 거래 비중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됐고, 하락 거래 비중도 40.6%에서 42.2%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방은 전반적으로 뚜렷한 변화 없이 유지됐다. 지난달 지방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0%, 하락 거래 비중은 43.5%로 6월(상승 44.1%, 하락 43.1%) 대비 각각 0.2%포인트 감소와 0.4%포인트 증가의 미미한 수준의 변동에 그쳤다.
다만 세종시는 지방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하락 전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지난달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48.9%) 대비 7.2%포인트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35.4%에서 45.2%로 9.9%포인트 증가했다.
직방 측은 "그간 행정수도 이전 등 개발 관련 기대감이 시장에 일부 영향을 미쳤지만 후속 추진이나 구체적 실행이 가시화되지 않으면서 매수세가 다소 진정된 결과"라며 "최근 관련 논의가 재차 언급되고 있지만 실제 실행 여부나 시점이 명확하지 않은 만큼 시장 반응 역시 일정 기간 유동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도권과 지방 간 거래 흐름의 차이는 6·27 부동산 대책의 영향이라는 게 직방의 분석이다. 이번 대책은 △주택담보대출 6억 원 한도 제한 △소유권 이전 등기 전 전세대출 금지 등 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조치로, 수도권 및 규제지역에 집중 적용됐다. 이 때문에 서울·경기 등 핵심 지역에서는 투자 수요는 물론 실수요층까지 매수 부담이 커지고 관망세로 전환되는 분위기가 나타났다.
이러한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 상승 거래 비중이 줄고 있다는 점은 시장 심리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다만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 때문에 실제 가격 조정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게 직방 설명이다. 실수요층이 원하는 입지나 주택 유형이 적시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시장의 공급 불안에 주목하며 도심 내 신규택지 확보, 정비사업 지원, 민간 참여 확대 등 정책 보완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