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주식 차명거래 의혹을 받는 이춘석 무소속 의원의 국회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며 본격적인 강제수사 단계에 돌입했다. 6일 고발장 접수 이후 5일 만에 수사가 속도를 내는 양상이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11일 국회 내 이 의원 사무실에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고 밝혔다. 확보 대상에는 이 의원과 보좌관 차 모 씨의 휴대전화·PC 등이 포함됐다. 의원실 앞 폐품 박스에서 발견된 수첩에서는 차 씨의 이름과 함께 아이디로 추정되는 단어가 적힌 페이지도 발견됐다.
이날까지 경찰은 전북 익산에 위치한 이 의원의 지역 사무실과 자택을 비롯해 총 8곳에 대해 압수수색을 마쳤다. 미래에셋증권 등 문제가 된 계좌가 있는 금융기관들에 대한 추적도 병행해 거래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이 의원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도 내려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 의원과 차 씨는 금융실명법 및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혐의를 받는다. 앞서 이 의원은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차 씨 명의로 주식을 사고파는 모습이 포착돼 ‘차명거래’ 논란이 확산됐다.
직무와 직접 연결된 이해충돌 의혹도 불거졌다. 이 의원이 AI(인공지능) 관련주인 네이버와 LG씨엔에스 주식을 거래하는 장면이 노출됐기 때문이다. 당시 그는 국정기획위원회에서 AI 정책을 다루는 경제2분과장을 맡고 있었다. 비판 여론이 일자 이 의원은 곧바로 더불어민주당을 자진 탈당했다.
이번 압수수색과 출국금지 조치를 기점으로 수사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경찰은 이미 이 의원과 차 씨를 대상으로 제기된 5건에 대해 고발인 조사를 마친 상태다. 향후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이 의원과 차 보좌관도 직접 소환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필요한 조치를 모두 취하고 있다”며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경찰은 7일 안용식 금융범죄수사대장을 팀장으로 두는 총 25명 규모의 전담 수사팀을 편성한 바 있다. 여기에는 변호사·회계사 등 자금 추적 전문인력도 포함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