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히타이트 제국에 대한 관심이 최근 국내에서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유산청이 ‘형제 국가’ 튀르키예와 함께 현지에서 히타이트 주요 유적 발굴에 나섰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튀르키예 문화관광부와의 문화유산 교류·협력의 일환으로 튀르키예 앙카라대와 함께 10월 2일까지 튀르키예 카이세리 인근 ‘퀼테페-카네시 유적’ 발굴 조사를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고대 도시인 ‘퀼테페-카네시’의 역사는 기원전 3000년경부터 시작돼 고대 로마 시대까지 이어졌다. 특히 히타이트 제국 이전 카네시(네샤) 왕국의 수도였으며 히타이트 문화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다. 히타이트 제국은 기원전 1600년부터 기원전 1100년까지 튀르키예 등지에서 번성했다.
‘퀼테페-카네시 유적’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뤄져 있는데 상부 도시에는 왕궁과 신전이, 하부 도시에는 상업 중심지이자 거주 구역인 ‘카룸’이 자리한다. 이곳에서 출토된 2만 3500여 점의 설형문자 점토판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해당 유적 자체도 2014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됐으나 현재까지 발굴된 지역은 전체 면적의 약 3%에 불과하다.
연구 대상과 관련해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5월 ‘퀼테페-카네시 유적’에 대한 지하 물리 탐사와 3차원(3D) 항공 측량을 실시해 유구의 대략적인 위치 등을 확인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처음 추진되는 이번 공동 발굴 조사에서는 상부 도시의 중심 궁전인 ‘와르샤마 궁전’ 남쪽과 동쪽 공간에 대한 시굴 및 발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에서 중동과 히타이트 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앞서 서울 송파구 한성백제박물관에서 ‘히타이트: 오리엔트 최강의 제국’ 국제교류전이 열렸으며 책 ‘히타이트 제국의 역사’도 출간돼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