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에이지테크(Age-Tech·고령친화기술)’를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한다.
부산시는 21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52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제2차 고령친화산업 육성 종합계획(2025~2029년)을 기반으로 한 ‘부산형 에이지테크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기반 시설(인프라) 확충, 지원체계 강화, 시민 체감 서비스 확대, 연계사업 발굴 등 4대 전략을 축으로, 향후 5년간 1283억 원을 투입해 12개 중점 분야와 34개 세부 과제를 추진한다.
특히 동남권 중심의 에이지테크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첨단 재생의료 임상 실증 지원 플랫폼, 체외진단 의료기기 원스톱 지원센터, 헬스케어·빅데이터 센터 등을 구축한다. 에코델타시티 협력단지와 5대 실증거점(앵커랩)을 통해 기업 집적화 및 신제품 사업화도 지원한다.
신생기업 성장과 에이지테크 기업 전환도 뒷받침한다. 정부 실버경제 육성전략 등과 연계해 고령친화 기술 전환 및 창업기업 육성을 강화하는 방식이다. 부산 최초로 규제과학(RA)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운영하고 푸드테크 계약학과 등을 통해 미래 인재도 길러낼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기존의 지원사업을 보완해 기업 지원 각 단계를 촘촘히 유기적으로 연결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령 친화 용품부터 지능형 건광 관리 제품까지 고령 친화 기술 전주기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민 체감형 서비스도 확대한다. 복지관에 디지털 서비스를 결합하는 디지털 복지관(3곳), 통합적 건강관리 플랫폼 사업인 스마트 복지관(10곳), 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할 스마트 경로당(50곳)을 구축하고 전국 최초 AI 기반 스마트 요양원 모델을 보급해 생활밀착형 디지털 복지를 구현한다.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복지용구 대여 서비스와 건강관리 체험관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연계사업으로는 고령자 주거개선 및 ‘내 집에서 노후 보내기(AIP)’ 관련 산업 활성화와 지역 맞춤형 고령친화 푸드테크 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고령층이 촘촘한 보살핌과 사회적 존중을 받는 동시에 이를 산업 발전의 동력으로 연결해 ‘부산형 에이지테크 선순환 경제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초고령사회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