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특정 직업군에서 22~25세 청년층의 고용률이 10% 이상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현지 시간) 미국 CNBC가 인용한 스탠퍼드대학교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객 서비스·회계·소프트웨어 개발 분야 등 AI 기술 활용도가 높은 직업군 종사자 가운데 22~25세 고용률이 2022년 이후 13% 상당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논문은 미국 최대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의 자료를 분석했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진들은 이번 결과가 미국 고용 시장에서 AI 혁명이 말단 노동자들에게 중요하고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는 가설과 일치하는 대규모 및 초기 증거라고 진단했다. 연구진들은 “AI가 정규 교육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지식과 학습 내용을 대체할 수 있어 젊은 세대에 특히 취약하다”고 분석했다.
다만 AI 기술 발전이 모든 직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간호조무사 등 AI 노출도가 낮은 직업에 대해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률이 유지됐거나 증가한 경우도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청년층 간호조무사의 일자리가 고령층보다 더욱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AI 활용 자체가 고용 감소에 직격탄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AI를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직종에서는 유의미한 고용률 변화가 없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대해 CNBC는 “AI가 일자리 시장에 미칠 영향력을 두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도 “모든 산업과 연령대에 획일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번 연구가 보여준다”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