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동부 해역에서 규모 6.0 지진이 발생하면서 세계가 본격적인 지진 활동기로 들어섰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규모 8.0 이상의 초강진이 빈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28일(현지시간) 중국시보 등 대만 현지 매체에 따르면 궈카이원 전 지진예측센터장은 전날 발생한 대만 동부 이란현 인근 해역 지진을 분석하며 "지구가 이미 지진 활동기에 진입했다"고 경고했다.
그는 최근 이어진 강진 사례를 연결해 설명했다. 지난 3월 미얀마에서는 규모 7.7의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7월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는 규모 8.8의 초강진이 발생해 강력한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대만의 경우 과거 연평균 2∼3회 정도 발생하던 규모 6.0 이상 지진이 최근 5년 사이 현저히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지금의 상황을 종합하면 대만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대형 지진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대만 중앙기상서(CWA)는 이번 지진이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발생했으며 향후 3일 안에 규모 5∼5.5 여진이 뒤따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북부 지역 건물들은 위아래로 크게 흔들린 뒤 좌우로 심하게 요동쳤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다행히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 대만 TSMC를 비롯한 주요 반도체 공장은 큰 피해 없이 정상 가동 중이다.
대만은 환태평양 지진대 이른바 '불의 고리'에 속해 있어 지진 위험에 늘 노출돼 있다. 1999년 난터우 지역에서는 규모 7.6 강진으로 2400명 이상이 숨졌고 지난해 화롄현에서도 규모 7.2 지진으로 수십 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