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361만 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월드'(본명 전석재)가 소금빵을 990원에 판매하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가 자영업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자 결국 고개를 숙였다.
슈카월드는 지난달 31일 방송에서 "싼 빵을 만들면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죄송하다"며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한 번도 없다. 나도 자영업자다. 빵값의 구조적인 문제를 이야기하려던 것인데 다른 방향으로 해석돼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어 "기분 상하신 분들이 있다면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고 재차 사과했다.
앞서 슈카월드는 지난달 30일 서울 성수동에서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를 열고 소금빵·베이글·바게트 등을 990원에 판매해 화제를 모았다. 식빵은 1990원, 명란바게트는 2450원, 단팥빵 2930원, 치아바타 3490원, 복숭아 케이크는 1만8900원 등 총 35종의 빵과 케이크를 시중보다 저렴하게 선보였다.
슈카월드는 "산지 직송으로 원가를 낮추고, 인건비 절감을 위해 빵 모양을 규격화·단순화했다"며 "또 마진율이 아닌 마진액으로 계산해 원가가 올라도 소비자가격에는 덜 반영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기획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제빵업계에서는 반발이 나왔다. 한 빵집 사장은 "소금빵 원가가 1000원인데 어떻게 990원에 팔 수 있느냐"며 "판매가에 거품이 낀 게 아니라 유통 구조에 거품이 끼어 있는 것인데, 마치 자영업자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고 토로했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누가 폭리를 안 당했다고 말할 수 있느냐"는 반응과 함께, 빵값 인상 배경에 임대료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건물 임대료만 합리적이라면 이렇게 비싸지 않았을 것"이라며 "결국 장사하는 사람도, 소비자도 건물주와 은행에 돈을 바치는 구조"라는 비판도 이어졌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국내 빵값이 비싼 이유로 높은 인건비, 복잡한 유통 구조, 밀 수입 의존도를 꼽는다. 실제 제빵업계의 인건비 비율은 전체 원가의 28.7%로, 식품 제조업 평균(8.1%)의 3배를 넘는다. 또 밀의 99% 이상을 수입에 의존해 국제 곡물 가격과 환율 변동에 민감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