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8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정국 ‘새 판 짜기’에 나선다. 국회에서 여당과의 대화 통로가 사실상 무너진 데 따라 새로운 돌파구로 대통령의 역할을 강력히 주문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사실상 ‘야당 패싱’으로 쟁점 법안을 강행 처리하고 있는 여당에 대한 ‘수위 조절’도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7일 국민의힘은 비공개 회의를 열고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담을 위한 막판 의제 논의에 돌입했다. 회담 당일에는 최고위원회의를 한 시간 일찍 개최하고 최고위원들의 의견을 끝으로 최종 의제를 점검한다. 최보윤 국민의힘 대변인은 “회의 내용을 종합 검토해 최종적으로 영수회담의 내용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장 대표는 이번 회담에서 여야 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대통령의 등판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12·3 비상계엄 이후 출구 없이 이어지고 있는 대치 정국을 풀어낼 열쇠로 대통령을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장 대표는 이달 5일 조셉 윤 주한미국대사대리를 접견한 후 기자들을 만나 “충분히 여야가 대화로 풀어낼 수 있는 문제가 있음에도 국회가 특검법 개정안이나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등을 추진하면서 교착상태에 빠졌다”며 “어려운 민생을 지적하고 해결하기 위해 대화와 협치의 물꼬를 틀 수 있는 것은 대통령이라는 점을 강력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또 노란봉투법, 더 센 상법 등으로 인한 재계·산업계의 우려를 대통령에게 전달하겠다는 입장이다. 장 대표는 “여전히 한미 관세 협상에 따른 불안정한 요소가 남아 있는데 노란봉투법, 더 센 상법 등의 입법 강행으로 인해 우리 기업의 안정성이 위축되고 있다”며 “결국 이런 문제를 풀어내야 하는 것은 대통령”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더 센 특검법’ ‘내란특별재판부 추진’ 등 전방위적인 야당 압박에 대한 이 대통령의 중재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 같은 의견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마주 앉은 자리가 아닌 대통령과의 단독 회담에서 다뤄질 가능성이 크다. 장 대표 취임 이후 정 대표와 한 차례의 공식 대면도 없었던 만큼 수위 조절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박준태 국민의힘 대표 비서실장은 “국회에서 사법 체계를 뒤흔드는 민주당의 입법 폭주에 대한 우려를 전할 것”이라며 “이런 것들에 대해 대통령실과 민주당의 의견 차이가 있는 걸로 이해하고 있는데 대통령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국민의힘은 이달 4일(현지 시간) 미국 이민 당국이 조지아주 서배너에 위치한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이며 우리 국민 300여 명을 체포·구금한 사건에 대한 조치와 진상 파악을 요구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