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을 계기로 ‘군사 굴기’를 과시한 중국이 대규모 군사·안보 포럼을 개최하며 글로벌 안보 구상을 밝힐 전망이다.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견제하는 목소리가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1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은 17∼19일 베이징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국제 질서 공동 수호와 평화적 발전 촉진'을 주제로 제12회 '샹산포럼'을 개최한다.
지난 2006년 중국 국방부가 출범한 샹산포럼은 연례 다자 안보 회의로, 중국판 ‘샹그릴라 대화(싱가포르 아시아 안보회의)’라고 불린다. 올해는 100여개국 국방·군사 지도자와 싱크탱크 전문가, 학계 인사 등 18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행사 주관은 중국 국방부장(장관)이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이 축하 서한을 통해 중국 안보 구상과 국제 질서 비전을 홍보하는 창구로 활용된다.
로이터 통신은 "시 주석이 이달 초 (열병식에서) 제시한 국제 질서에 대한 비전을 샹산포럼을 통해 추진할 것"이라며 미국을 겨냥한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시 주석은 지난 3일 열린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패권주의와 강권 정치에 맞서는 단결을 촉구하며 사실상 미국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참가자들은 열병식에 중국이 공개한 최신 무기의 구체적인 정보를 얻으려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당시 중국은 전 지구를 사정권으로 하는 핵 탑재 미사일 둥펑(DF)-5C와 장거리 미사일 DF-61, 최대 사거리 5000㎞ 수준의 DF-26D, 중·단거리 탄도미사일 DF-17 등을 공개했다. 미 항공모함을 원거리에서 타격할 수 있는 잉지(YJ)-21 극초음속 미사일 등 YJ 계열, 미국 전역을 사정권으로 하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쥐랑(JL)-3 등 JL 계열의 미사일도 선보였다.
서방 국가들은 대표단의 격을 낮춰 샹그릴라 대화를 역내 비공식 대표 안보회의로 삼으려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국은 지난해 국방부 부차관보를 파견한 것과 달리 올해는 주중미국대사관의 국방 무관을 참석시킬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