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김천식(사진) 통일연구원장이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또다시 대립각을 세웠다. 정 장관의 ‘평화적 두 국가론’에 대해 “매우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했는데, 앞서 김 원장은 이재명 정부 출범 직후 ‘통일부 명칭 변경’ 가능성이 제기됐을 때도 “부적절하다”고 반대한 바 있다.
김 원장은 19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통일연구원·한라대 동북아경제연구원 공동 학술회의 축사에서 “적대적이든 평화적이든 두 국가론은 한민족을 영구 분단시킨다”며 “두 국가론은 국사를 완전히 다시 써야 하고 북한 주민은 이민족이 되며, 북한 땅은 이웃 나라의 영토로 넘어가게 되는 참변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또 “북핵 문제도 마찬가지다. 지난 어떤 정부가 북핵을 도와줬다거나 또는 방치했다는 주장은 허구이자 미신”이라며 “남북 관계나 북핵 문제의 근원은 북한의 체제 문제에 있는데 우리 내부에서 정권 교체가 될 때마다 네 탓과 책임 공방을 하는 것은 매우 소모적이고 국가 분열을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이는 정 장관이 전날 ‘2025 국제 한반도 포럼’ 개회사에서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의 핵심은 평화적 두 국가론”이라며 “지난 정부 시기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은 대폭 증가되고 고도화됐다”고 한 말과 정면 배치된다.
김 원장은 “지금 남북 관계는 통일로 갈 것이냐 영구 분단으로 갈 것이냐의 논란에 있다. 남북한은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면서 “통일은 완전한 광복이며 강대국이 되는 길, 영구 분단은 우리 민족이 강대국이 되는 길을 포기하고 약한 민족으로서 주변국에 휘둘리며 지질하게 살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 장관은 9·19 군사합의 복원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정 장관은 이날 경기도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남북군사합의 7주년 기념 특별 토론’에서 “적어도 올해 안에는 9·19 군사합의가 선제적으로 복원돼야 한다”며 “정부 내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광복절 경축사에서 9·19 군사합의의 선제적·단계적 복원 방침을 밝힌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