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에서 지방간 질환이 있으면 50세 이전에 암이 생길 위험이 일반인보다 20% 더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젊은 층의 지방간을 새로운 암 위험군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고려대 의대 정석송 교수, 교신저자 서울시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토대로 2013~2014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0대 287만 7245명을 최장 10년간 추적 조사했다. 연구팀은 소화기·비뇨생식기·호흡기·내분비 등 전신에 걸친 23가지 암 발병률을 분석해 지방간 질환과 조기 발병암(50세 미만 암)의 연관성을 검증했다.
조사 결과, 지방간 질환을 가진 젊은 층은 일반인 대비 조기 발병암 위험이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도 △대사 이상성 지방간(19% 상승) △대사·알코올 복합성 지방간(12% 상승) △알코올성 지방간(21% 상승) 모두에서 발병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암종별 분석에서는 ‘비만 관련 암(obesity-related cancer)’의 위험이 특히 두드러졌다. 대장암은 최대 1.32배, 콩팥암은 최대 1.53배, 갑상선암은 최대 1.36배, 자궁내막암은 최대 3.78배까지 상대위험도가 증가했다. 이는 비만이 암 발생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기존 연구와 맥락을 같이한다.
지방간 질환은 간세포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는 병으로, 음주뿐 아니라 비만·당뇨·고지혈증 등 대사질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방치하면 지방간염과 간경화를 거쳐 간암으로 악화할 수 있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 부족이 겹치면서 국내 20·30대 유병률은 2017년 기준 34.3%에 달한다. 하지만 젊은층 지방간이 간 외 장기와 전신 건강에 미치는 위험성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아 사각지대로 남아 있었다.
연구팀은 “최근 50세 미만 조기 발병암이 △비만율 증가 △알코올 섭취 확대 △신체 활동 감소와 밀접히 관련된 만큼, 지방간 역시 암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준호 교수는 “50세 이전 암은 진행이 빠르고 공격적이어서 조기 진단·치료 여부에 따라 예후가 극명하게 갈린다”며 “지방간과 비만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젊은 층을 대상으로 진단율을 높이고 암 발병 모니터링까지 이어질 수 있는 통합적 검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의 저명 국제학술지 ‘임상 위장병학 및 간장학회지(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