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대표 가을 축제인 소래포구축제를 앞두고 지난해부터 이어진 ‘바가지 논란’이 재발하지 않도록 당국이 강력한 점검에 나섰다.
인천시 남동구는 지난 15일부터 소래포구 어시장 일대 음식점 160곳을 대상으로 위생·가격·원산지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제25회 소래포구축제가 26일부터 28일까지 열리는 만큼 손님 불편을 최소화하고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사전 조치라는 설명이다.
점검팀은 식품위생과 관계자와 소비자 식품위생감시원 등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식품 위생 취급 기준 △영업자 준수 사항 △개인위생 관리 여부 등을 세밀히 살펴보고 과도한 호객 행위도 사전에 차단하기로 했다. 또한 저울(계량기)을 전수 점검해 실제 무게와 표시가 다른 경우가 없는지 확인하고 있다.
특히 문제로 지적돼온 원산지 표시 위반 단속이 집중된다. 젓새우와 꽃게 등 소래포구 특산품의 원산지 미표기 여부를 확인하고, 중국산 낙지·일본산 참돔 등을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하는 사례가 있는지 살펴본다. 남동구는 관계 기관과 합동으로 원산지 허위 표시를 뿌리 뽑겠다고 강조했다.
소래포구 어시장은 2023년 여름, 다리가 떨어진 꽃게를 판매하거나 가격을 묻는 손님에게 막말을 하는 모습이 공개되면서 신뢰를 크게 잃었다. 지난해 3월에는 ‘대게 2마리 37만 원’을 요구하는 영상이 온라인에 퍼지며 또다시 논란이 불거졌다. 유튜브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일부 업소가 무게를 속이거나 과도한 가격을 부르는 장면이 퍼져 어시장 전반의 이미지가 실추됐다.
논란이 이어지자 소래포구 상인회는 ‘무료 회 제공’ 행사를 열며 이미지 회복에 나섰고, 영업 규약을 개정하는 등 자정 노력을 시도해왔다. 실제로 판매가 기준 1억 원을 넘는 규모의 행사가 진행되기도 했다.
남동구 관계자는 “축제를 앞두고 방문객들이 안심하고 즐길 수 있도록 바가지요금, 수산물 원산지 허위 표시, 불공정 상거래를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며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착한 축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