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청년재단은 청년정책에 대한 청년의 인식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9월 8일부터 11일까지 전국 19세~39세 청년 1,793명을 대상으로 ‘2025 청년정책 인식 설문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했고, 26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청년기본법’ 제정 이후 만 5년이 되는 시점이자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2021~2025)이 마무리되는 시기에 향후 청년정책의 발전방안과 전달체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설문은 ▲청년에 대한 사회적 시선 ▲청년정책에 대한 인식과 관심 ▲청년의 삶과 미래 전망 등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대학(원)생, 사회진입준비생, 직장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다양한 집단의 청년 의견을 전국적으로 수렴했다.
‘청년 연령’의 범위를 물어본 결과, 청년들은 평균 19.8세~37.3세로 인식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응답자의 연령대가 낮을수록 상한 연령을 낮게,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게 보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한국사회가 청년 집단을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이 72.5%로 다수를 차지했는데, 다만 19~24세 및 사회진입준비생 집단에서는 그 긍정 응답이 상대적으로 조금 낮았다.
‘청년 의견이 사회에 잘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긍정(51.9%)과 부정(48.1%)이 팽팽히 갈렸다. 특히 대학(원)생ㆍ사회진입 청년의 긍정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이들의 제도적 참여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사회가 청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응답은 80%였으며, 특히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집단에서 긍정 비율이 높았다.
청년정책 인식과 관심에서는 응답자의 64.9%가 ‘청년정책 지원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특히 19~24세와 사회진입준비생 집단에서 그 비율이 높았다.
청년정책 지원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에게 정책 분야별 ‘도움이 된 프로그램’을 물은 결과, △일자리는 면접비ㆍ구직활동 지원, 인턴 경험, 멘토링 △주거는 전월세 지원, 공공임대주택 공급 △금융은 자산형성 지원 등을 각각 우선순위로 꼽았다.
또한 ‘청년정책 정보를 접한 경로’에 대해서는(복수응답) SNS(62.3%)가 가장 높고, 이어 공공기관 홈페이지(43.1%), 청년센터(37.4%) 순으로 나타나 청년센터가 정책 전달의 주요 창구임을 확인했다.
각 정책분야에 대해 ‘청년정책이 삶에 도움되는지’를 물어본 결과, ▲생활ㆍ복지ㆍ문화 분야는 81.0% ▲일자리 분야는 79.3% ▲주거 분야는 77.9% 등으로 나타나 청년정책이 전반적으로 긍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앞으로의 청년정책 목표의 방향’에 대해(복수응답) 청년들은 성장 기회 제공(51.8%), 경제적 자립 지원(50.5%), 생활 안정(46.3%)을 중요한 정책 목표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청년정책 방향과 청년이 기대하는 청년정책 간의 간극’이 어느 정도인지 묻는 질문에서는 10점 만점 평균 6.3점으로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청년들은 △정책 수요와 정책설계 간 조정 △참여대상 범위 확대 △참여기회 지속성 강화 △제안정책의 실질적 반영 등을 통해 수요와 정책을 맞춰나가야 한다고 응답했다.
청년의 현재 삶의 만족도 평가는 자가평가 5.8점, 타인평가 5.5점으로 ‘보통 수준’이었고, ‘5년 후 자신의 삶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는 나아질 것 42.4%, 비슷할 것 44.5%로 비교적 낙관적인 응답이 많았다.
청년재단 박주희 사무총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청년들이 정책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체감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다만 청년정책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정책 체감도와 실효성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청년이 가장 필요로 하는 주거ㆍ일자리 분야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청년의 목소리가 실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참여 구조를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