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마비를 초래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20명 규모의 전담 수사팀을 꾸려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서울경찰청 리튬이온전지 전담 과학수사요원 세 명도 현장에 추가 투입해 감식에 나선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29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정례 기자 간담회에서 “대전경찰청 형사과장, 팀장 등을 포함해 20명 규모의 전담수사팀을 꾸려 수사 중”이라며 “서울경찰청 리튬전지 전담 부서 소속 과학수사요원 세 명을 추가로 투입해 합동 감식, 관련자 조사, 폐쇄회로(CC)TV 확보 등을 통해 원인을 면밀히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국정자원이 있는 대전경찰청은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폭발 경위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는데 여기에 서울청 소속 리튬 전담 과학수사요원들도 투입됐다는 설명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대전 본원에 입주한 경찰의 정보 시스템은 헬기 항공 시스템 한 개로 이번 화재로 경찰 치안 활동에 큰 지장은 없는 상태다. 다만 대전 본원과 광주 분원 간 연계 기능 일부에 장애가 발생해 총 여덟 개 시스템이 영향을 받았다. 이 가운데 네 개는 민원 서비스(국민비서알림서비스·우편자동화시스템·사회적약자종합지원시스템·유실물종합관리시스템), 네 개는 내부 업무 시스템이다.
경찰은 인명·시설 조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전경찰청은 화재 발생 이틀째인 27일부터 당시 전산실에서 작업하던 배터리 이전 관련 업체 관계자 일곱 명을 잇달아 불러 조사했다. 행정안전부가 당시 현장 인원을 열 세 명으로 밝힌 가운데 국정자원 관계자에 대한 조사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공사를 맡은 원청 업체와 하청 업체의 계약 관계, 아르바이트 인력 투입 여부 등도 수사 대상에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