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발생한 정부 전산 마비 사태와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큰 불편을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재차 고개를 숙였다.
윤 본부장은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현재 46개 (행정정보) 서비스가 정상화됐다”며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정부24와 우체국 금융서비스도 재가동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소된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바로 재가동이 쉽지 않다”며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 복구를 추진해 최대한 신속하게 대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주말이 지난 오늘부터 민원 행정 수요가 늘어나고 국민 불편이 확대될 수 있다”며 “오늘 회의에서 각 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논의해 달라”고 주문했다.
윤 본부장은 이날 중대본 회의 이후 96개 시스템이 이전될 국정자원 대구센터를 직접 찾아 현장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멈췄던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는 순차적으로 복구되고 있다. 그러나 주요 시스템 96개가 전소된 전산실에 위치해 있어 대구센터로의 이전 및 재가동에는 약 2주가 소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체 서비스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