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0일 부산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약 한 달 만에 정상회담을 열어 지난 양자 회담의 후속 조치를 점검한다. 특히 인구 소멸과 지방 활성화 등 양국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해 협력 강화 의지를 담은 합의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이 대통령이 내일 부산에서 이시바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이어서 만찬과 친교 일정을 소화한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은 이 대통령의 8월 방일에 대한 이시바 총리의 답방”이라며 “한 달 만에 두 정상의 만남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일 간 셔틀외교가 복원·정착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회담에서 다룰 의제로 위 실장은 △인구문제 △지방 활성화 △인공지능(AI)·수소에너지 등 협력 등을 제시했다. 양국은 정상회담을 마치고 그 결과를 일정한 합의문 형태로 정리해서 발표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달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정상회담 이후 △미래산업 협력 △저출산 고령화 공동 대응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일 공조 등을 골자로 한 공동 언론 발표를 진행했다.
위 실장은 “격변하는 지정학적 환경과 무역 질서 속에서 유사한 입장을 가진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한일이 함께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는 기회”라며 “이러한 의의를 고려해 이시바 총리의 한국 방문은 형식적으로 실무 방문이지만 환영 행사나 회담장 등에서 그 이상의 환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세심하게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도 거론될 수 있지만 대통령실에서는 “공식 의제라고 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일본은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한 바 있고 우리는 협의 중에 있다”며 “지난 정상회담에서도 의제는 아니었지만 그 문제가 논의돼 우리가 일본 측의 경험으로부터 꽤 유용한 조언을 취한 바 있어 그런 차원의 얘기는 있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일본 정상이 양자 정상회담을 위해 서울 이외의 도시를 방문하는 것은 2004년 제주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회담 이후 21년 만이다. 지방 활성화에 대한 협력 의지를 부각하기 위한 결정이다.
이시바 총리는 다음 달 4일 일본의 집권 자민당이 새 총재를 선출하고 이어 국회에서 신임 총리가 결정되면 퇴임할 예정이다. 위 실장은 “이시바 총리가 퇴임한 후에도 일본 정계의 중진 의원으로 계속해서 한일 관계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