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에 반대하는 ‘반중(反中)’ 시위가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것을 두고 중국 관영매체가 우려를 표하면서도 “결국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29일(현지 시간) ‘중국·한국 무비자 입국의 의미는 경제적 차원을 넘어선다’는 제하 사설에서 “최근 한국의 일부 극우 단체들이 서울 명동 등지에서 반중 시위를 빈번하게 벌이고, 일부 정치인들이 반중 음모론을 선동하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이러한 행위는 중한 관계 개선 분위기를 저해하고 한국의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이는 최근 주한중국대사관이 위치한 명동을 비롯한 도심 곳곳에서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반대하는 시위가 잇달아 열리고 있는 현상을 겨냥한 것이다. 경찰이 인근 상인 및 중국인들의 거듭된 불안 호소에 12일 시위대의 명동 진입을 막자 이들은 명동 외곽과 대림동 등 다른 곳에서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무비자 입국 첫날인 29일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들로 구성된 보수 단체 ‘민초결사대’는 여의도에서 집회를 열고 ‘중국인 관광객 3000만명 무비자 반대’ 등 구호가 적힌 피켓을 드는가 하면 중국 국가주석의 얼굴을 거꾸로 뒤집어 건 대형 깃발을 나부끼기도 했다.
사설은 그러나 “한중 교류의 문이 활짝 열림에 따라 반중 감정의 몇몇 역류가 결국 역사의 흐름에 휩쓸려 사라질 것”이라며 반중 감정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중국이 한국인의 무비자 입국을 한시적으로 허용한 데 이어 우리나라도 무비자 정책으로 화답하면서 양국 국민 간 오해와 편견이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사설은 “많은 한국인 관광객들이 중국의 급속한 발전을 직접 목격하고 모바일 결제의 편리함과 디지털 경제 활력을 경험했다”며 “이는 중국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크게 변화시켰다”고 짚었다. 실제 여행업계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는 일본(29%)으로 1위지만 전월 대비 5%포인트 줄었다. 반면 중국은 9%로 3%포인트 상승하며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글로벌타임스는 무비자 입국 정책의 전면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드러냈다. 현 정책은 내년 6월 30일까지만 한시적으로 적용된다. 사설은 “앞으로 핵심은 ‘시범 시행’을 ‘정상적인 관행’으로 어떻게 전환하느냐”라면서 “중국 단체 관광객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것은 새 한국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취한 중요한 조치이며 우리는 이러한 조치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