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의 중대형 정찰위성 확보를 위한 ‘425 사업’의 마지막 정찰위성 5호기가 2일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국방부는 이날 “군 정찰위성 5호기가 발사된 지 14분 뒤인 오후 2시 23분 발사체와 성공적으로 분리돼 목표 궤도에 정상 진입했다”며 “발사된 지 1시간 만인 3시 9분 지상국과 교신에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5호기는 이날 오후 2시 9분(현지 시각 2일 오전 1시 9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2단 추진체로 구성된 팰컨9에 탑재돼 발사됐다. 발사된 지 2분 18초 후 1단 추진체가, 이어 23초 후에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이 각각 분리돼 목표 궤도에 안착했다. 발사된 지 1시간 만인 오후 3시 9분 지상국과 교신에도 성공했다.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425 사업의 마지막 위성까지 마무리되면서 한반도 상공에서 북한의 도발 징후를 감지할 ‘킬체인(선제 타격 체계)’의 눈이 한층 정밀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방부는 “정상 운용 중인 1~4호기와 함께 군집 운용을 통해 24시간 전천후로 한반도 전역을 감시·정찰할 수 있는 독자적 능력을 구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정찰위성 5기가 모두 실전 배치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국 자산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북한의 핵심 군사기지는 물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향까지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해상도가 30㎝ 수준(가로세로 30㎝를 한 점으로 인식)인 고성능 영상 레이다(SAR) 위성은 차량 종류와 사람의 움직임까지 특정할 수 있다.
1호기는 2023년 12월 발사돼 지난해 8월 전력화됐고 2호기는 지난해 4월 발사돼 올해 6월 전력화됐다. 3호기는 지난해 12월 발사돼 올해 7월 전력화됐고 4호기는 올해 4월 발사돼 시험 평가 후 결과 판정을 기다리고 있다. 2호기부터는 SAR을 탑재해 주야간 및 날씨와 관계없이 초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한국과 미국의 국방 수장이 4일 회담을 열고 한미 동맹 국방 분야 현안을 협의한다.
국방부에 따르면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전쟁부) 장관은 4일 서울에서 제57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재명 정부와 미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 열리는 SCM으로 한미 장관의 취임 후 첫 공식 대면 회담이다. SCM은 동맹인 한국과 미국의 주요 군사정책을 협의·조정하는 양국 국방 분야 최고위급 기구다.
주요 의제로 △대북 정책 공조 △연합 방위 태세 △확장 억제 △지역 안보 협력 △사이버·우주·미사일 협력 △함정 건조 및 유지·보수·정비(MRO) 등 방산 협력 △국방과학기술 협력 등이 논의된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 곧바로 국방장관 회동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국방부는 “이번 SCM에서 변화하는 안보 환경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동맹을 미래지향적이고 호혜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현안 전반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hlee@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