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韓한령 보다 韓침공”…中CATL·BYD·화웨이 잇따라 진출
    “韓한령 보다 韓침공”…中CATL·BYD·화웨이 잇따라 진출
    기업 2025.04.17 06:30:00
    글로벌 배터리 1위 기업인 중국 닝더스다이(CATL)와 글로벌 전기차 1위인 비야디(BYD) 등 중국 기업의 국내 시장 공략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올 1월 한국 법인인 ‘시에이티엘코리아 주식회사’를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설립했다. 자본금은 6억 원, 발행 주식 수는 12만 주다. 공동 대표에는 호주 국적인 권혁준 사내이사, 중국 국적인 한신준 사내이사가 각각 이름을 올렸다. 권 공동대표는 CATL 본사의 법무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며 그간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등의
  • 이재명 싱크탱크 출범, 유종일 "시장 벗어난 정책은 성공 못해"
    이재명 싱크탱크 출범, 유종일 "시장 벗어난 정책은 성공 못해"
    IT 2025.04.17 06:30:00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 후보의 싱크탱크 ‘성장과통합’이 16일 닻을 올렸다. 성장과통합은 인공지능(AI)과 제조업의 연계로 전 산업의 AI 전환, 즉 인공지능전환(AX)을 성장의 열쇠로 제시했다. 이날 출범식을 앞두고 리허설이 한창인 국회도서관에서 서울경제신문을 만난 유종일 성장과통합 상임공동대표는 “대한민국의 성장이 AI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 출신인 유 대표는 그동안 성장보다 분배에 무게를 뒀던 학자였지만 이번에는 성장이 답이라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유 대표는 “혁신으로 잠재성장률
  • '美 관세폭탄'이 불러온 스마트폰 대혼전…출하량은 삼성, 판매량은 애플
    '美 관세폭탄'이 불러온 스마트폰 대혼전…출하량은 삼성, 판매량은 애플
    기업 2025.04.17 06:30:00
    미국이 던진 '관세 폭탄’ 영향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경쟁 구도가 요동치고 있다. 애플이 1분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영향을 피해 물량을 앞당겨 판매하면서 삼성전자(005930)와 판매량·출하량 면에서 혼전이 벌어진 것이다. 1분기에는 통상 신제품을 출시하지 않던 애플이 올해 아이폰 보급형 제품을 출시한 것까지 겹쳐 삼성전자와 애플의 치열한 선두경쟁 양상은 한동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복수의 시장조사 업체에 따르면 1분기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출하량 격차는 빠르게 좁혀졌다. 통상 1분
  •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산업일반 2025.04.17 06:10:00
    취업난과 공무원 시험 인기 하락으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로스쿨 사교육 시장도 커지고 있다. 로스쿨 사교육 1위 기업은 매년 10% 안팎 매출 성장도 보인다.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로스쿨 사교육 수요가 커지자 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메가엠디의 로스쿨 등 전문직 수험 부문 매출액은 2023년 219억 원에서 지난해 240억 원으로 10% 가까이 성장했다. 이 회사의 전문직 수험 부문 매출은 변리사나 의학전문대학원 등을 다루는데 변리사&m
  • 제조기업 10곳 중 4곳 "트럼프 관세 대책 없다" [Pick코노미]
    제조기업 10곳 중 4곳 "트럼프 관세 대책 없다" [Pick코노미]
    산업일반 2025.04.17 06:00:00
    국내 제조업체 10곳 중 4곳 이상이 미국발 통상 불확실성에 대응책을 제대로 세우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데다 하루 단위로 내용이 크게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연구원은 1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1분기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현황과 2분기 전망’을 발표했다. 산업연은 매 분기 말 제조업 기업을 대상으로 BSI 지수를 조사하면서 주요 현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8일 사이 국내 제조업체 1
  • 美서 시작된 '렉라자 효과'…유한양행 로열티 '청신호'
    美서 시작된 '렉라자 효과'…유한양행 로열티 '청신호'
    산업일반 2025.04.17 06:00:00
    유한양행(000100)의 비소폐소폐암 치료제 '렉라자'와 얀센의 ‘리브리반트’를 함께 사용하는 요법이 올 1분기 미국 의료현장에서 본격 시행돼 약 20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지난해 8월 렉라자에 대해 품목허가한 후 실제 판매 규모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체 매출의 80%가 미국에서만 발생했던 만큼 다른 국가로 확장되면 매출 규모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렉라자 매출 로열티를 배분받는 유한양행, 오스코텍, 제노스코 등의 1분기 실적에도 긍정적
  • 쏘카 앱에서 따릉이 빌린다
    쏘카 앱에서 따릉이 빌린다
    IT 2025.04.17 06:00:00
    서울시 공공 자전거 따릉이를 쏘카(403550)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쏘카는 서울시와 협력해 따릉이 4만 5000여 대를 쏘카 앱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연계한다. 이용자들은 쏘카 앱에서 전기 자전거 쏘카일레클도 이용할 수 있다. 쏘카일레클 운영 대수는 5만 여대다. 운영 대수 기준 국내 최대 규모의 자전거 플랫폼이다. 따릉이 연계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다음 달 말까지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따릉이를 처음 이용하는 회원이 쏘카 앱에서 따릉이 이용권을 구매하면 최대 5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30
  • 나이 탓 아니었다…숨차고 오래 가는 기침, 알고보니 ‘이 병’[헬시타임]
    나이 탓 아니었다…숨차고 오래 가는 기침, 알고보니 ‘이 병’[헬시타임]
    IT 2025.04.17 05:30:00
    “젊었을 때부터 매년 이맘때면 콧물이 줄줄 흐르고 코가 막히곤 했거든요. 환절기에 흔히 겪는 알레르기 비염이려니 하고 넘기곤 했는데, 요즘은 조금만 걸어도 숨이 차고 가슴이 조이는 것 같아 심상치 않다고 느꼈습니다.” 서경자(72·가명) 씨는 최근 지인들과 등산길에 올랐다가 갑작스럽게 호흡이 가빠지며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을 겪었다. 평소에도 봄이 되면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이 심해져 고생을 했지만, 병원을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전문의와의 문진 및 진찰을 거쳐 폐기능검사, 기관지 유발 시험, 피부단
  • 앳홈, 단백질 식품 ‘프로티원’ 더현대 서울서 팝업스토어 오픈
    앳홈, 단백질 식품 ‘프로티원’ 더현대 서울서 팝업스토어 오픈
    중기·벤처 2025.04.17 05:00:00
    단백질 식품 브랜드 프로티원(Proteeone)이 이달 25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7일간 더 현대 서울에서 '빛나는 나의 재발견'을 테마로 특별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팝업스토어에서는 프로티원 단백질 쉐이크 딸기맛과 커피맛 파우치 신제품이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김잼 작가와 협업한 새로운 패키지 디자인으로 한정 수량 출시된다. ‘맛있게 먹고 즐겁게 운동하면 빛나는 나를 재발견할 수 있다’는 응원의 메시지를, 김잼 작가 특유의 유쾌하고 사랑스러운 캐릭터에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팝업스토어 오픈을
  • "전염병도 아닌데 왜 늘었을까?"…아이 31명 중 1명은 '이 질환' 앓는다
    "전염병도 아닌데 왜 늘었을까?"…아이 31명 중 1명은 '이 질환' 앓는다
    바이오 2025.04.17 05:00:00
    미국에서 자폐증 진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이 급증 원인 규명을 지시했다. 15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내 자폐증 아동 비율은 2000년 150명당 1명에서 2022년 31명당 1명으로 급증했다. 1960~70년대 연구에서는 약 5000명당 1명 수준이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최신 보고서는 지역별 편차도 크다고 밝혔다. 텍사스 일부 지역은 100명당 1명꼴로 진단됐지만, 샌디에이고에서는 19명당 1명이 자폐증 진단을 받았다. 인종별로는 백인보다 아시아계, 흑인, 히스패닉
  • 5월부터 회생절차 전 '사전 구조조정' 받을 수 있다
    5월부터 회생절차 전 '사전 구조조정' 받을 수 있다
    기업 2025.04.17 05:00:00
    서울회생법원(정준영 법원장)이 기업 회생 제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새로운 기업 구조조정 제도를 도입한다. 오는 5월 1일부터 '프리 ARS(Pre-ARS)' 제도와 '하이브리드 구조조정' 방식을 국내 회생법원 중 최초로 시행한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16일 대회의실에서 기업회생 제도 개선 설명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정준영 법원장과 양민호 수석부장판사, 이여진 법인회생총괄부장판사, 황성민 법인회생부장판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이날 설명회에서는 새 제도의 배경
  • 美관세대응 보폭 늘리는 현대차…무뇨스 "중장기 사업전략 재검토"
    美관세대응 보폭 늘리는 현대차…무뇨스 "중장기 사업전략 재검토"
    기업 2025.04.17 04:41:51
    미국 정부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이 이어지는 가운데 현대자동차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고경영자(CEO) 직속의 전담 조직을 신설한 데 이어 미국 현지에서 CEO 주재로 임원진 회의를 열고 중장기 사업 전략을 재검토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비용 절감 등 유연한 대응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고 위기를 기회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16일(현지시간) 2025 뉴욕 국제 오토쇼 행사장인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컨벤션 센터에서 국내 기자들과 만나 “오늘, 내일 현대차(005380)에서
  • "소변 잘 안 나오면 '이 병' 의심해 보세요"…방광에 소변 가득 차 있던 여성의 사연
    "소변 잘 안 나오면 '이 병' 의심해 보세요"…방광에 소변 가득 차 있던 여성의 사연
    바이오 2025.04.17 04:00:00
    6년간 소변을 제대로 보지 못한 영국 여성의 사연이 전해졌다. 14일(현지 시간) 영국 더선 등에 따르면 안나 그레이(27)는 2018년 11월 며칠간 소변을 보지 못했다. 이후 며칠 동안 여전히 소변이 나오지 않자 병원을 찾았고 의료진은 신장 감염이 원인이라며 그레이의 몸에 가느다란 관을 삽입해 방광의 소변을 빼냈다. 몇 주 지난 후에도 같은 증상을 겪었다는 그레이는 방광에서 소변 2ℓ를 빼낸 적도 있다고 전했다. 그는 “처음엔 아침에 소변이 나오지 않길래 그냥 소변을 볼 필요가 없는 건가 보다 했다. 하지만 하루가 지나면서 ‘이
  • 현대차 '호프 온 휠스' 북미 전역 확대…지역상생 실천
    현대차 '호프 온 휠스' 북미 전역 확대…지역상생 실천
    기업 2025.04.17 01:56:59
    현대자동차가 올해로 27년 차인 소아암 퇴치 캠페인 ‘현대 호프 온 휠스(Hyundai Hope On Wheels·바퀴에 희망을 싣고)’를 북미 전역으로 확장한다. 현대차(005380)는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25 뉴욕 국제 오토쇼’에서 현대 호프 온 휠스 캠페인의 발자취를 소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호프 온 휠스 캠페인은 현대차가 미국에서 펼쳐온 대표적인 사회공헌 활동으로 미국 어린이 사망의 주요 원인인 소아암 연구와 치료를 지원하고 소아암 종식에 기여하기 위해 시작됐다
  • 기아 EV3 '세계 올해의 자동차' 수상…현대차그룹, 4년 연속 최고영예
    기아 EV3 '세계 올해의 자동차' 수상…현대차그룹, 4년 연속 최고영예
    산업일반 2025.04.16 23:51:09
    기아의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EV3가 세계 최고 권위의 자동차 상인 '세계 올해의 자동차(World Car of the Year·WCOTY)에 선정됐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으로 최고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월드카 어워즈’에서 EV3는 세계 올해의 자동차를 수상했다. EV3는 함께 후보로 오른 현대차의 캐스퍼 일렉트릭(현지명 인스퍼)와 BMW X3를 누르고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다. 캐스퍼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