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가발 소재 원사 ‘모다크릴’…태광, 阿·북미권 본격 수출
    가발 소재 원사 ‘모다크릴’…태광, 阿·북미권 본격 수출
    기업 2024.05.20 09:29:38
    태광그룹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한 가발 소재 원사 ‘모다크릴’의 수출을 본격화한다. 아프리카와 북미권 여성 고객들을 적극 공략해 세계 1위인 일본 기업 가네카를 따라 잡겠다는 계획이다. 태광그룹의 섬유·화학 계열사인 태광산업(003240)은 모다크릴 수출 판매를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모다크릴은 인조 가발과 난연재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계 섬유다. 태광산업은 1000억 원을 투자해 일본의 화학 기업 가네카에 이어 전 세계 두 번째로 모다크릴 상용화에 성공했다. 2001년 ‘모다본(Modabon)’이라
  • 삼성전자,올인원 세탁건조기 '에센셜 화이트' 색상 출시
    삼성전자,올인원 세탁건조기 '에센셜 화이트' 색상 출시
    기업 2024.05.20 09:29:03
    삼성전자가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에 '에센셜 화이트' 색상을 추가했다고 20일 밝혔다. 결혼과 이사 등 새로운 가전 수요가 늘어나는 5월을 맞아 기존 다크실버스틸, 새틴 라이트베이지에 이어 새로운 색상을 추가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 에센셜 화이트 색상은 온라인 전용 제품으로 삼성닷컴에서 판매한다. 비스포크 AI 콤보는 세탁기와 건조기 기능을 하나로 결합한 올인원 세탁건조기다. 세탁기와 건조기를 각각 설치할 때보다 설치 공간을 약 40% 절약할 수 있다. 황태환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qu
  • 변압기부터 전선, 구리까지…'전기 먹는 하마' 등장에 웃음 짓는 LS [biz-플러스]
    변압기부터 전선, 구리까지…'전기 먹는 하마' 등장에 웃음 짓는 LS [biz-플러스]
    기업 2024.05.20 08:39:11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인공지능(AI) 등장에 LS(006260)그룹의 낙수효과가 커지고 있다. AI는 기존 인터넷보다 훨씬 많은 전력을 소비해 전 세계적으로 변압기와 전선 등 송배전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LS그룹이 해당 사업 관련 수직 계열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LS그룹의 송배전 수주 잔액은 약 9조 원으로 불어났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 1분기 LS의 전선 사업과 일렉트릭 사업 부문의 수주잔액은 8조 9987억 원으로 2022년 말 4조 2610억 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수주가
  • ‘인테리어 가전’ 인기에…코웨이 노블 공기청정기2 눈길
    ‘인테리어 가전’ 인기에…코웨이 노블 공기청정기2 눈길
    기업 2024.05.20 06:40:00
    최근 가전 제품도 인테리어 요소 가운데 하나로 여겨지며 성능 만큼 디자인적인 측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에 디자인과 기능적인 측면 모두 충족한 코웨이(021240) ‘노블 공기청정기2’가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17일 코웨이에 따르면 노블 공지청정기2는 지난해 9월 출시 이후 인기를 얻으며 주력 제품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건축에서 영감을 받은 아키텍처 디자인과 간결한 직선 구조의 타워형 외관 등 기존 제품보다 고급스러움을 강조해 주목을 받았다. 여기에 자연을 모티브로 한 △가든 그레이 △포슬린 화이트 △
  • "싸이버거, 일본도 제패하나"…맘스터치, 다이와하우스와 JV 논의 [시그널]
    "싸이버거, 일본도 제패하나"…맘스터치, 다이와하우스와 JV 논의 [시그널]
    기업 2024.05.20 05:30:00
    이제 일본에서도 ‘싸이버거(맘스터치 대표 메뉴)’를 먹을 수 있게 됐다. 국내 치킨·햄버거 프랜차이즈 업체 맘스터치가 일본 시장 사업 확대를 위해 일본의 종합 부동산업체 다이와하우스공업과 손 잡고 현지 합작법인(JV) 설립을 추진하면서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맘스터치는 최근 다이와하우스와 일본 JV 설립안을 논의하고 있다. 맘스터치가 운영 전략 등을 세우고 다이와하우스가 점포 선정, 공사, 운영 등을 담당하는 방식이 유력한 안으로 알려졌다. 맘스터치는 지난달 됴코 시부야구에 ‘시부야 맘스터치’를 개점하며 일본
  • '볼파라' 인수효과 본격화…루닛 "내년 매출 1000억원, 흑자 전환 예상"
    '볼파라' 인수효과 본격화…루닛 "내년 매출 1000억원, 흑자 전환 예상"
    기업 2024.05.20 05:20:00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328130)이 내년 매출 1000억 원 달성과 흑자 전환을 노린다. 핵심 퍼즐은 유방암 특화 AI 기업인 ‘볼파라’다. 사업 초기부터 해외 시장 진출에 공을 들여왔던 루닛은 이달 말 볼파라 인수 작업이 마무리된다. 올해부터 미국에서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만큼 실적 개선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김기환 루닛 최고의학책임자(CMO·전무)는 최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유방암 검진 기관 2000여 곳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분기 흑자를 내고 있는 볼파라와 손을 잡게
  • LG전자-메타, 내년 출시하려던 XR 기기 프로젝트 '중단'…2027년으로 연기
    LG전자-메타, 내년 출시하려던 XR 기기 프로젝트 '중단'…2027년으로 연기
    기업 2024.05.19 21:04:52
    LG전자가 글로벌 '빅테크'로 꼽히는 메타와 협력 개발하고 있는 증강현실(XR)기기 출시 시점을 내년에서 2027년으로 연기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2월 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방한해 조주완 LG전자 CEO와 만나 협업을 공식화한 지 두 달여만에 무산됐다. IT 업계에서는 LG전자가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메타와 의견 차이가 있었고, 시너지가 크지 않다는 판단을 내려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한다. 실제 2월 당시 서울 여의도 LG 트윈타워에서 저커버그 CEO와 회동한 후 취재진
  • [인터뷰] 양준영 LGD 선행기술연구소장 "1만니트 올레도스 결실, SK하이닉스 손잡고 이뤄낸 것"
    [인터뷰] 양준영 LGD 선행기술연구소장 "1만니트 올레도스 결실, SK하이닉스 손잡고 이뤄낸 것"
    기업 2024.05.19 18:00:00
    “우리나라 최대 반도체·디스플레이 회사가 만나 올레도스(OLEDoS·OLED 온 실리콘)를 낸 사례는 처음입니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만큼은 중국에 기술력을 빼앗길 수 없습니다.” 17일 양준영 LG디스플레이 선행기술연구소장은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서울경제신문을 만나 새로운 올레도스 제품에 대해 이렇게 소개했다. 양 소장은 14일(현지 시간)부터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렸던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학회 ‘SID 2024’에 참가했다. 업계 최초로 4K 화소로 만든 올레도스 제품을 ‘빅테크’ 고객사에 보여주
  • 루닛 "美서 AI 유방암 검진 시범사업… 내년 흑자 전환 예상"
    루닛 "美서 AI 유방암 검진 시범사업… 내년 흑자 전환 예상"
    기업 2024.05.19 17:59:02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328130)이 내년 매출 1000억 원 달성과 흑자 전환을 노린다. 핵심 퍼즐은 유방암 특화 AI 기업인 ‘볼파라’다. 사업 초기부터 해외 시장 진출에 공을 들여왔던 루닛은 이달 말 볼파라 인수 작업을 마무리한다. 올해부터 미국에서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는 만큼 실적 개선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기환 루닛 최고의학책임자(CMO·전무)는 최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유방암 검진 기관 2000여 곳을 고객으로 보유하고 분기 흑자를 내고 있는 볼파라와 손
  • '피크 코리아' 대안…아프리카가 온다
    '피크 코리아' 대안…아프리카가 온다
    기업 2024.05.19 17:33:33
    지난해 말 일본의 한 언론이 ‘피크 코리아(Peak Korea·정점을 지난 성장률)’론을 제기했다. 한때 13%가 넘는 경제성장률(1983년)을 기록하며 눈부신 발전을 거듭한 한국이지만 이제는 성장률이 1~2%대로 둔화했고 기록적인 저출생으로 노동력이 급속히 쪼그라들어 내리막길만 남았다는 것이다. 앙숙인 일본의 과도한 평가절하라고만 치부하기에는 한국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출산율은 반등의 기미가 안 보이고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서도 우리의 입지를 다지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 "日 가맹점 늘린다"…맘스터치, 다이와하우스와 JV 논의 [시그널]
    "日 가맹점 늘린다"…맘스터치, 다이와하우스와 JV 논의 [시그널]
    기업 2024.05.19 17:30:00
    국내 치킨·햄버거 프랜차이즈 업체 맘스터치가 일본 시장 사업 확대를 위해 일본의 종합 부동산업체 다이와하우스공업과 손 잡고 현지 합작법인(JV) 설립을 추진한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맘스터치는 최근 다이와하우스와 일본 JV 설립안을 논의하고 있다. 맘스터치가 운영 전략 등을 세우고 다이와하우스가 점포 선정, 공사, 운영 등을 담당하는 방식이 유력한 안으로 알려졌다. 맘스터치는 지난달 됴코 시부야구에 ‘시부야 맘스터치’를 개점하며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시부야 맘스터치는 지난해 10월 현지에서 팝업 매
  • LS 송배전 수주잔액만 9조…전력 수직계열화로 짜릿한 성장세
    LS 송배전 수주잔액만 9조…전력 수직계열화로 짜릿한 성장세
    기업 2024.05.19 16:30:00
    전 세계에서 전력 기기와 전선 수요가 급증하면서 LS(006260)그룹의 송배전 수주 잔액이 약 9조 원으로 불어났다. 15년 만에 돌아온 북미의 전력 인프라 교체에 더해 인공지능(AI) 활용 증가에 따라 대규모 데이터센터 수요가 늘면서다. AI는 기존 인터넷보다 훨씬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데다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전력 기기와 전선의 수요도 따라 커지고 있다. LS는 변압기를 생산하는 LS일렉트릭부터 LS전선, 원재료인 구리를 생산하는 LS엠앤엠까지 전력 인프라 관련 수직 계열화를 이루고 있어 낙수 효과가 더욱 커지고 있다. 19
  • KOTRA, 일본 도쿄서 '한·일 무역투자 일자리 대전' 개최
    KOTRA, 일본 도쿄서 '한·일 무역투자 일자리 대전' 개최
    기업 2024.05.19 14:21:5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18일 일본 도쿄에서 국내 청년들의 일본 취업을 돕기 위해 '한일 무역투자 일자리 대전'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니토리, 호시노 리조트 등 68개 일본 기업과 하나투어, 현대자동차 재팬 등 일본에 진출한 한국기업 15곳이 참여해 채용설명회·면접·멘토링 등을 진행했다. 김삼식 KOTRA 일본지역본부장은 "최근 일본에서 경기 회복 추세가 이어지며 한국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해외 취업을 희망하는 청
  • 편의점 도시락 사면 비트코인 준다고?…이마트24, 3만개 조기 완판
    편의점 도시락 사면 비트코인 준다고?…이마트24, 3만개 조기 완판
    기업 2024.05.19 09:46:11
    편의점 이마트24는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손잡고 이달 8일 선보인 비트코인 도시락이 고객의 폭발적인 호응 속에 3만개 물량이 조기 완판됐다고 19일 밝혔다. 5500원에 출시된 비트코인 도시락에는 최대 3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는 쿠폰이 들어있다. 이마트24는 애초 이달 말까지 상품을 판매할 계획이었으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빠르게 입소문이 퍼지며 지난 18일까지 준비된 수량이 모두 팔렸다. 빗썸에 따르면 도시락을 구입한 후 실제 비트코인을 수령한 고객은 1만명이다. 쿠폰 번호 입력 기간이 이달 말까지여서 더 많은
  • HLB 8종목 하한가에도… 진양곤 회장 "독자적 사업 꽃피울 것"
    HLB 8종목 하한가에도… 진양곤 회장 "독자적 사업 꽃피울 것"
    기업 2024.05.19 07:00:00
    HLB(028300)가 개발한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불발로 HLB그룹주 8개 종목이 일제히 하한가를 기록했지만 진양곤 HLB 회장은 “각 회사들이 독자 사업을 잘 구축해 온 만큼 신약 허가 지연으로 인한 어려움을 빠르게 해소하고 꽃을 피울 것”이라고 말했다. 19일 HLB에 따르면 진 회장은 FDA의 보완요구서한(CRL)을 수령한 17일 사내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우리 모두는 혼신의 힘을 다했고 우리의 도전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문제가 있다면 극복하면 될 터, 우리에게는 문제를 극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