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경제·마켓최신순인기순

  • 고용 호조에 침체 우려 완화…뉴욕 증시, 1%대 강세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고용 호조에 침체 우려 완화…뉴욕 증시, 1%대 강세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경제·마켓 2025.06.07 08:00:51
    5월 미국 비농업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1% 이상 강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갈등이 일단락되며 테슬라의 주가가 반등한 것도 기술주 매수 심리를 개선시켰다. 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3.13포인트(1.05%) 오른 42,762.8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61.06포인트(1.03%) 상승한 6000.36, 나스닥종합지
  • 푸틴, '진주만급 기습'에 성난 보복…멀어지는 '트럼프 노벨상 꿈' [글로벌 왓]
    푸틴, '진주만급 기습'에 성난 보복…멀어지는 '트럼프 노벨상 꿈' [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6.07 08:00:00
    드론 기습에 10조 원어치 규모의 전투기를 잃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대적인 보복 공습에 나서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꿈이 사실상 물거품이 된 게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결기로 우크라이나 전장에 긴장이 고조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종전 구상이 완전히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다. 추가 제재 카드도 쉽게 못 꺼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동맹인 유럽까지 등을 돌리게 해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전쟁 외교가 난파 상태에 빠졌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우크라, 공군 기지 기습
  • 해리스 前대사 “北, 존재론적 위협…李대통령, 명확히 인식해야 할 과제"
    해리스 前대사 “北, 존재론적 위협…李대통령, 명확히 인식해야 할 과제"
    경제·마켓 2025.06.07 08:00: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때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낸 해리 해리스(2018~2021년 재임) 전 대사가 이재명 대통령 취임과 관련 "한국이 명확히 인식해야 할 도전 과제는 북한"이라고 밝혔다. 해리스 전 대사는 6일(현지 시간) 워싱턴DC 소재 한미경제연구소(KEI) 주최 '한국의 새 대통령과 한미 관계 전망' 세미나에서 "러시아와 동맹을 맺고 러시아와 중국으로부터 고급 무기를 공급받으며 핵무장을 한 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이 모든
  • 매출 25% 감소한 구찌, 美뉴욕5번가 매장 1년 만 매각[글로벌 왓]
    매출 25% 감소한 구찌, 美뉴욕5번가 매장 1년 만 매각[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6.07 07:15:00
    글로벌 명품 브랜드 구찌가 뉴욕 5번가에 위치한 고급 부동산 자산을 매각한다. 럭셔리 시장 둔화로 매출이 감소하면서 비용 절감에 고삐를 조이는 모습이다. 5일(현지 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구찌 모회사인 케링은 사모펀드 아디안과 수의 계약을 통해 뉴욕 5번가에 위치한 부동산 지분 대부분을 매각하기로 했다. 케링은 구찌와 발렌시아가, 보테가 베네타 등 브랜드를 보유한 프랑스 럭셔리 그룹이다. 뉴욕 5번가는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거리로 꼽힌다. 루이비통과 프라다, 샤넬 등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들은 물론 메트로폴리탄
  • 트럼프 "미중 협상단, 9일 런던서 만날 것"
    트럼프 "미중 협상단, 9일 런던서 만날 것"
    경제·마켓 2025.06.07 06:41:5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미중 2차 고위급 무역협상이 오는 9일(현지 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다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트루스소셜에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가해 중국 대표단과 무역 합의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며 이 같이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이 매우 잘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미중 정상은 5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첫 공식 전화통화를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으로 초청 했고 나도 화답
  • 고용급랭 없었다…美 5월 비농업일자리 13만9000명 증가
    고용급랭 없었다…美 5월 비농업일자리 13만9000명 증가
    경제·마켓 2025.06.06 22:35:53
    미국 고용시장이 지난달에도 비교적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여파로 기업들이 투자와 채용을 꺼리면서 고용 지표가 곤두박질 칠 수 있다는 우려와 달리 일자리 증가와 실업률 모두 안정적 둔화 추세를 나타냈다. 미국 노동부는 6일(현지 시간) 5월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자수가 13만9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망치였던 12만6000명을 웃돌았다. 4월의 14만7000명보다는 증가세가 다소 둔화했지만 올 1월부터 3월까지 매월 일자리 증가량 보다 높았다. 실업률은 4.2%를 기록해 전월과 동일했으며
  • [속보]美 5월 비농업고용 13만9000명 증가…전망치 상회
    [속보]美 5월 비농업고용 13만9000명 증가…전망치 상회
    경제·마켓 2025.06.06 21:33:53
    미국 노동부는 6일(현지 시간) 5월 미국 비농업부문 고용자수가 13만9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월 14만7000명 증가보다 둔화됐고 전망치였던 12만6000명을 웃돌았다. 실업률은 4.2%를 기록해 전월과 동일했다. 전망치(4.2%)에 부합했다. 시간 당 평균 임금 상승률은 전월대비 0.4%로 4월(0.2%) 보다 오름세가 커졌다. 전망치(0.3%)를 웃돌았다.
  • 하루 시총 200조 증발…'드래곤 철수' 말바꾼 머스크
    하루 시총 200조 증발…'드래곤 철수' 말바꾼 머스크
    경제·마켓 2025.06.06 11:52:2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계약 취소 위협에 반발해 드래곤 우주선 사업에서 즉각 철수하겠단 의사를 밝혔던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가 불과 수 시간 만에 해당 발언을 번복했다. 머스크는 5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에서 ‘알래스카(Alaska)’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한 이용자가 “둘 다(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 이것보다 나은 사람들이니 진정하고 며칠 물러서서 생각해보라”고 안타까움을 드러내자 “좋은 조언이다. 드래곤을 철수하지 않겠다”는 답글을 달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 예산에서 수
  • 美언론들, 꼬박꼬박 "좌파 이재명"…트럼프와 中외교 충돌할까 [글로벌 왓]
    美언론들, 꼬박꼬박 "좌파 이재명"…트럼프와 中외교 충돌할까 [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6.06 10:00:00
    미국과 서방 주요 언론 상당수가 이재명 대통령 이름 앞에 꼬박꼬박 ‘좌파(Leftist)’ ‘좌파 성향(Left-leaning)’이라는 수식어를 쓰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이 대선 기간 ‘중도보수’를 표방하며 과감한 ‘우클릭’ 행보를 보였음에도 여전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는 대척점에 있는 정치인이라는 선입견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특히 대다수 외신이 이 대통령이 취임 이후 미국과 중국, 북한 관계를 크게 재설정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얼마나 의식하면서 한미 관계를 풀어나갈지 관
  • 美 재무부, 한국 '관찰대상국' 유지…외환시장 '큰 손' 국민연금 언급도 확대
    美 재무부, 한국 '관찰대상국' 유지…외환시장 '큰 손' 국민연금 언급도 확대
    경제·마켓 2025.06.06 09:43:39
    미국 재무부가 지난해 11월에 이어 한국의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하고, 국민연금에 대한 언급도 이전보다 확대했다.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지면서 미 재무부가 관련 움직임을 이전보다 주시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정부는 미 재무부와 소통을 통해 상호 신뢰를 강화하고, 한미 환율 협의도 면밀히 이어나갈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6일 참고자료를 내고 “미 재무부가 환율보고서 평가 결과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독일, 싱가포를 포함한 9개국을 관찰대상국으로 분류했다"며 “한국 정부는 앞으로도 미국
  • '1박에 5만 원'中서 저가 호텔 열풍…연말까지 2300곳 추가로 문 연다[글로벌 왓]
    '1박에 5만 원'中서 저가 호텔 열풍…연말까지 2300곳 추가로 문 연다[글로벌 왓]
    경제·마켓 2025.06.06 09:38:00
    중국 대표 호텔 체인 H월드그룹이 오는 2030년까지 호텔 9000곳을 추가 개장한다고 밝혔다. 중국 경기가 둔화한 가운데 하루 약 38달러(약 5만 원)로 묵을 수 있는 저가 호텔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다. 4일(현지 시간) 닛케이아시아는 상하이에 본사를 둔 H월드가 올해 말까지 2300곳의 호텔을 신규 오픈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H월드는 올해 3월 말 기준 1만 1685개의 호텔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1분기에만 538곳을 신규 오픈해 같은 기간 97곳을 개장한 1위 호텔 그룹 '진장'을 빠
  • 달러 약세가 부른 은의 질주…13년 만에 최고가
    달러 약세가 부른 은의 질주…13년 만에 최고가
    경제·마켓 2025.06.06 09:08:14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후 횡보세를 보이는 가운데, 은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며 13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달러 약세와 공급 부족,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귀금속 선호 현상으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뉴욕상업거래소(COMEX)에서 7월 인도분 은 선물 가격은 트로이온스당 35.81달러에 마감했다. 2012년 2월 28일 이후 13년 여 만에 최고치다. 장중에는 36.27달러까지 올랐다. 은 가격은 올 들어 약 22%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금은 약 28% 상승했지만, 이날
  • 美적자, '관세 덕'에 2.8조弗 줄지만 '감세 탓'에 2.4조弗 증가
    美적자, '관세 덕'에 2.8조弗 줄지만 '감세 탓'에 2.4조弗 증가
    경제·마켓 2025.06.06 09:00:00
    미국의 재정적자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2조 8000억 달러가량 줄지만 감세 법안의 효과로 2조 4000억 달러 정도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통해 감세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고 강조하지만 재정적자 축소 효과는 4000억 달러에 그치는 셈이다. 블룸버그통신은 5일(현지 시간) 미국 연방의회 산하 예산 분석 기관인 의회예산국(CBO)이 민주당의 요청에 따라 공개한 관세정책 자료를 바탕으로 이 같이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CBO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13일까지 시행한 관세 인상 조치로 재정적자
  • 트럼프, 李보다 시진핑에 먼저 전화 걸었다 [글로벌 모닝 브리핑]
    트럼프, 李보다 시진핑에 먼저 전화 걸었다 [글로벌 모닝 브리핑]
    경제·마켓 2025.06.06 07:00:00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트럼프, 시진핑과 통화…"중국 초청 수락" ‘제네바 합의’로 무역 휴전에 들어간 뒤에도 팽팽한 기싸움을 펼쳤던 미국과 중국 정상이 관세 전쟁 해소의 분수령이 될 전화 통화를 가졌습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과의 취임 첫 통화를 기다리는 상황이라 미중 정상 간 대화에 관심이 더 쏠리는 분위기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5일(현지 시간)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리고 “방금 시 주석과 매우 유익한 통화를 마쳤다”며 “최근 체결되고
  • 트럼프와 머스크의 브로맨스 ‘파국’…“일론과의 정부 계약 끊겠다”
    트럼프와 머스크의 브로맨스 ‘파국’…“일론과의 정부 계약 끊겠다”
    경제·마켓 2025.06.06 06:10:5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밀월이 막을 내렸다. 머스크 CEO는 정부효율부(DOGE) 업무를 공식 종료한 지 일주일이 지나지 않아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법안에 대해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냈고 트럼프 대통령도 “그는 결국 미쳐버렸다”며 우호적이었던 둘의 관계가 파국으로 끝났음을 알렸다.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는 머스크CEO가 운영하는 각종 사업체에 대한 정부 계약이나 보조금을 중단하며 보복에 나설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 시간)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와 백악관 집무실에서 만난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