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서울경제TV SEN 12시 뉴스

# 건설, 조선 등 취약업종 대기업 30개사 구조조정

건설, 조선, 해운 등 취약업종의 대기업 30여 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전망입니다.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 위험 평가 작업도 시작돼 오는 11월 퇴출 기업이 나옵니다.

금융당국은 국내 대기업에 대한 신용 위험 평가 작업을 마치고 조만간 30여 개 대기업에 대해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 신청을 유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500억원을 넘는 대기업에 대해 신용위험 평가 검사에 나서는 등 구조 조정 대상 선정 작업을 벌여왔습니다.

채권단은 지난해 1,806개 대기업 중 549개사를 세부 평가 대상으로 선정한 뒤 건설, 조선,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 등 36개사를 C등급과 D등급으로 분류했습니다. C등급에 해당하는 대기업은 채권단과 워크아웃 약정을 맺고 경영 정상화를 추진합니다. D등급은 채권단 지원을 받지 못해 자율적으로 정상화 추진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됩니다.

# 금융소비자보호원, 금감원에서 분리로 가닥

정부가 금융감독체계 개편 과정에서 금융감독원과 금융소비자보호원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하지만 금감원 직원들이 금융위원회를 포함한 조직 개편을 요구하고 나선데다 정치권에서 특별위원회 구성을 검토하는 등 반대 움직임이 거세 정부안이 그대로 국회를 통과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금융위원회는 금감원에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두지 않고 독립기구로 금융소비자보호원을 분리 설치하기로 하고 세부 사항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정부의 금융감독체계 개편안이 금융소비자를 위한 것인지 재고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입니다.

금융위가 가져가려던 금감원의 제재권도 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감원의 제재심의위원회가 금감원장과 금융소비자보호원장에 자문하는 기구로 바뀌고 이의신청심사위원회를 별도 설치하는 방안이 논의 중입니다.

# 기재부 “미국 양적완화 축소 위험 여전하다”

향후 경기를 바라보는 정부의 시선이 한층 어두워졌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경제동향(그린 북) 7월호에서 “서비스업생산, 설비투자 등 일부 지표가 증가세를 보였지만 광공업생산, 소비, 건설투자가 감소하고 고용이 둔화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이는 한 달 전 그린북 종합평가보다 후퇴한 모습입니다.

5월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26만5,000명 증가했습니다. 증가 폭이 한 달 만에 20만명대로 떨어진 것입니다. 5월 광공업생산도 전월 대비 0.4% 감소했습니다.

5월 소매판매는 통신기기, 컴퓨터 등 내구재와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 판매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전달에 비해 0.2% 줄었습니다. 소매판매의 경우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은 중형차의 판매 부진으로 1년 전보다 8.5% 감소했고, 휘발유 판매량도 0.1% 줄었습니다.

기재부는 앞으로 경기가 대외여건이 개선되고 정책효과가 본격화하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유럽경제의 회복이 늦어지고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위험이 여전해 하방위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미국 신용대출 급증‥ “경기회복 신호”

미국 경기회복의 신호인 소비자들의 신용대출 규모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8일(현지시간) 발간한 월간 소비자신용 보고서에서 지난 5월 가계 신용대출 잔액이 2조8,400억 달러로, 전달에 비해 196억 달러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시장전문가들의 예상치 평균을 훨씬 웃도는 수치로 월간 증가 폭으로는 지난해 5월 이후 1년 만에 가장 큰 것입니다.

신용카드 대출을 비롯한 이른바 리볼빙 신용이 같은 달 66억 달러나 늘어났습니다. 특히 신용카드 대출 잔액은 8,471억달러로 지난 2010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학자금 대출, 자동차구입 대출 등 비(非) 리볼빙 신용도 130억 달러나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올 들어 경기회복 덕분에 부동산 시세가 올라가고 증시도 호조를 보이면서 소비자들이 저금리를 이용해 대출을 늘리고 있는데다 고용 안정으로 소비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서울경제TV 보도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